Крепость Кузнецов

SVO의 개시: 키예프 교외에서의 전투

원저자: Vladimir


사용된 약어 목록

bkg

2022년 2월 25일-28일 키예프 주에서 활동한 러시아군 집단은 몇몇 BTGr에서의 소수 병력으로 키예프 교외를 돌파할 수 없었으며 주력 구분대가 이들의 증강을 위해 벨라루스 공화국 영토에서 투입되고 있었다.


64km의 대열

VSU우크라이나 무장군 및 외국 정보부 데이터에 의하면 RB벨라루스 공화국 영토에서 러시아군 대열이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2월 28일 재이동передвижение 중 위성에 의해 최초로 기록되었으며, 벨라야 소로카를 통과하고 체르노빌 ─ 디탸트키 ─ 이반코프 ─ 파네비치 ─ 노보에 잘레시에 거주지를 경유한 이 대열의 초기 연장은 15.5km였다. 이후 대열은 분할되어 한 쪽은 즈드비제프카 ─ 고스토멜 공항으로, 나머지는 보로댠카 ─ 마카로프를 향하였다. 2월 28일 저녁 경 까지 신규 부대의 도착으로 대열이 증강되었다: 이는 BTGr대대 전술 집단 4개에 해당하였다 (전차 40대, BMP/BMD 160대). 이 시점에 대열의 연장은 24km였다. 3월 1일 64km에 걸쳐 BTGr 6개 (전차 60대, BMP/BMD 240대) 가 추가로 대열에 합류하였으며, 이는 SENTINEL 위성 사진에 포착된 그 유명한 수십킬로미터 대열이 되었다. 제35 및 제36군에서 새로운 부대가 도착하게 되며 합 19개 BTGr의 약 2만에 달하는 병사들이 키예프 방면에서 활동하였다.

1

3월 3일까지 "V" 군 집단 사령부는 제35 및 제36군 병력으로 지토미르 ─ 키예프 간선трасса 및 이르펜 강을 따라 보로댠카 ─ 마카로프 지역에서 대규모 공세를 수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작전 수행에는 벨로루시 공화국 영토의 고정익 및 회전익기 지원을 받는 차량화소총병, 전차 및 공수군 BTGr이 참여하였다. 지토미르 ─ 키예프 간선 지역에서는 차량화소총병 BTGr이, 이르펜 강을 따라서는 공수군 BTGr이 행동하였다. 러시아 "V" 집단의 공세 행위는 키예프 서부 및 북서부 근교окраина에 도달한다는 단일 목표로 통합되었다.


BTGr

그 크지 않은 치수размер로 인하여 BTGr은 높은 기동성을 지니게 되었고, 키예프 주에서의 전투에서 VDV 부대가 사용한 것이 BTGr이었다. 각 BTGr은 구성별로 100-130대 사이의 장비 대수 및 600-900명 사이의 병력에서 다소 다른 구성을 지녔다.

VDV 일개 BTGr의 대략적 구성은 이하와 같다:


당사자별 TVD 및 병력

VSU의 다양한 부대 및 제대로 구성된 혼성сводный 병력이 키예프에서 러시아 집단에 대항하였다. 일단의 VSU 군 집단이 이르펜 강을 따라 방위를 점유하였다: 제72 OMBr독립 기계화 여단, 제241, 제112 및 제114 TrO영토 방위군 여단, 제1, 제4, 제27, 제25 NGU 여단, TrO "아조프" 부대, ZhVI지토미르 군사 연구소, VITI군사 전기통신 및 정보 연구소, VIKNU타라스 셰브첸코 기념 키예프 국립 대학 군사 연구소, 제184 UTs훈련 센터에서 차출된 다수 소총병 대대. 이러한 구분대의 증원을 위해 이하와 같은 다양한 특별구분대спецподразделение가 배속되었다: 제3 OSpN특별목적 분견대, "오메가" ooSpN독립 특별목적 분견대 및 기타 SSO 부대, 더하여 제80, 제79, 제95 ODShBr독립 상륙-강습 여단 및 "OPFOR" BTGr에서 차출된 독립 구분대들 또한 활동하였다.

VSU 부대 이외에도, VSU 전역자, CIS 및 유럽 시민권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자원병 제대가 해당 방면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VSU 군의 증강은 자원병 및 지역 거주민들을 통해 수행되었다. 키예프 교외пригород와 기타 우크라이나 주에서 실시된 동원은 지역 자위自衛 분견대와 VSU의 활성 부대를 크게 증강시킬 수 있었다. VSU 장교 중 하나의 발언에 따르면 "대로проспект 전체가 자원병들로 포화되었고, 이는 약 3만 명"이었다. 동시에 키예프의 다른 지역에서도 TrO 여단을 충원하기 위해 자원병을 모집하였고 이는 키예프 거리의 사람들에게 무기를 분배하기 전이었다. TrO 여단 외에도 다른 VSU 구분대에도 충원이 완료됨에 따라 키예프 주로 재이동하였다.

2

VSU의 주요 방위대는 이르펜 강을 따라 점유하였다. 이는 1941년 키예프 방위를 정확히 반복한 것이었으며 교량이 파괴된 강은 키예프 근교로의 즉각적 돌파를 방지하였다. VSU 주요 방위 절점節點은 구타-메즈고로스카야, 비쉬고로드, 류튜즈, 모슌, 고렌카, 로마노프카 및 스토얀카와 같은 정착지에 위치하였다. 이르펜 강 외에도 VSU는 지토미르 ─ 키예프 간선을 따라서도 방위선을 유지하였다. VSU 사령부는 이전에 러시아 집단이 혹여 사용할 수 있을 모든 교량을 의도적으로 폭파시킨 이르펜 강 동안東岸에 병력을 주둔시켰으며, VSU 사령부 및 우크라이나 지도부는 2022년 2월 24일 이전에도 이 경계에 대한 방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3

이르펜 강 앞에는 약 7만 명이 거주하는 같은 이름의 도시가 있었다. 2022년 3월 1일까지 이들은 대부분 도시에 잔류하였고, SVO 개시 이래로 소수의 거주민만이 도시를 떠났다. VSU 사령부는 대규모 병력으로 이르펜을 방어할 계획은 없었으나, 러시아 집단을 돈좌시킬 수 있는 전초기지로 사용하려 했다. 이르펜에는 제241, 제114 TrO 여단, "아조프" 및 기타 자원 TrO 분견대에서 차출된, 몇몇 전차 및 BTR, BMP 및 BBM 10기 이상을 보유하고 있었던 대대급 이상의 병력이 직접 주둔하였었다. 부차, 보르젤 및 고스토멜 pgt전원도시 근교에서 몇몇 TrO 분견대가 활동하였다. 이르펜의 가용 병력을 증강하기 위해 VSU 사령부는 언제든지 로마노프카와 고렌카 주변 거점опорный пункт으로부터 추가 병력을 할당할 수 있었다. 이르펜의 VSU 방위는 주요 수송 인터체인지에 위치하고, 선견 관측병, 저격수 및 유탄수가 주택 지붕과 다락에 배치되며, 돌파 발생 시 그 방위의 간극을 폐색하도록 방위 종심에는 전차 및 장갑차량이 위치하는 중대 및 소대 거점 네트워크였다. 또한 돌파구 발생 시 러시아 기술품 대열의 진행경로 상에 독립 분견대를 매복시켜야 했다. 이르펜 방위를 위한 화력 지원은 고렌카 지역의 제72 OMBr 포병 구분대가 제공하였으며 우크라이나 VVS공군 고정익 및 회전익기가 항공 지원을 담당하였다.

키예프에 본대가 도착하기 전 러시아군은 부차, 고스토멜 pgt, 고스토멜 공항 및 데미도프 지역에 몇몇 BTGr을 전개하였다. 러시아군은 공수군, 해군보병 및 로스그바르디야로 구성되어 있었다. 부차와 고스토멜 pgt 지역에서는 제104 Gv.DShP근위 상륙-강습 연대가 직접 배치되었다.

3월 1일 저녁까지 즈드비제프카 지역 및 고스토멜 공항에 키예프 방면의 주 주둔지 주력을 배치시킴에 따라 러시아 집단 사령부는 키예프 서쪽 근교에 도달하여야 했던 몇몇 BTGr 병력을 별개의 방면에서 공세 행위에 투입함을 예정하였다. 따라서 이르펜, 부차, 고스토멜 pgt 및 보르젤 지역에서는 정찰 대대로 증강된 BTGr 3개가 돌파에 사용되었다.

4

VDV 구분대는 제31 OGDShBr독립 근위 상륙-강습 여단, 제234 및 제104 Gv.DShP, 제76 Gv.DShD근위 상륙-강습 사단, 제173 ORB독립 정찰 대대 및 제106 Gv.VDD근위 공수 사단 배속 제137 Gv.PDP근위 낙하-상륙 연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중 지원은 제18 Gv.ShAP공습 항공 연대의 Su-25로 실시되었다.


과업

러시아 사령부의 복안腹案은 이하와 같다: 제104 Gv.DShP 부대가 부차에서 외전外轉하여 도시에서 철군отступление하는 외견을 연출하고, 이르펜으로부터 VSU 주력을 유인해 2개 BTGr로 수렴 타격을 가한 후 부차에 있는 VSU 부대를 공위攻圍하고 파괴함에 이어 BTGr이 북부 및 서부 방면에서 이르펜으로 진입. 그 이전에 이르펜의 VSU 진지에 Su-25 공격기가 작업할 예정이었다.

2022년 2-3월 사건의 정보를 검색하던 중 흥미로운 전단을 발견하였다. 전문을 게시한다:

장병 동지들!

서방국들에 의해 이식되고 지원되는, 우크라이나에 드리워진 파시즘의 위협은 조국 무장군 최고 총사령관인 러시아 대통령이 내린 결정을 예정하게 하였다. 오늘날 파시스트 정권의 지지자들은 우크라이나 공무 및 정치인을 가장하여, 러시아 문화를 파괴하고 대조국전쟁 간 히틀러 독일 이데올로기를 국가에 주입하는 등 인구에 대해 극도로 적대적인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무장군은 장장 7년을 우크라이나 남동부 루간스크와 도네츠크 공화국에서 러시아어 사용자들을 섬멸уничтожение하기 위한 적극적인 작전을 펼쳐왔다. 현재까지 사망한 민간인의 수는 이미 일만삼천 명을 넘었다. 민족주의 편제는 돈바스 도시와 정착지의 민간 구획에 매일 포격을 퍼부으며 여성, 노인, 아동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살해하고 있다. 이 모든 기간 동안 우리의 형제인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우크라이나인들의 문화적 역사적 가치가 파괴되었고 러시아 연방 대통령과 정부는 인위적으로 창조된 무장 충돌에 대해 평화적, 민주적인 해법 착수를 시도하였다. 돈바스와 우크라이나 인민들은 파시스트들과, 우리의 형제 인민들을 다투게 하여 역사를 굴절시키려 시도하는 자들에게 지쳤다.

조국의 무장군 최고 총사령관은 민간인을 살해하고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은 우크라이나 지도자 정치 범죄 집단에 반대하고 비동의하는 모든 것을 섬멸하라는 범죄적 지령을 내린, 우크라이나 당국의 파시즘적 견해의 신봉자들과 그 수하들을 국부화하고 축출하기로 결정하였다.

지휘관과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가져라.

러시아 인민들은 귀관을 지지하며 귀관이 파시스트의 예속으로부터 우크라이나와 돈바스의 인민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하리라 믿는다.

지체할 수 없는 역사적 순간이 도래하였다.

우리의 증조부, 조부는 이미 파시스트의 악의로부터 키예프를 해방하였다.

우리가 그들의 위업을 반복할 때가 왔다.

우리가 옳음을 경각하고 확신하라. 우리의 대의는 진실하다! 우리는 이길 것이다! 승리는 우리의 것이다!

공수군 집단 사령관


작전 개시 및 공중에서의 사건

작전은 3월 1-2일 밤에 개시되었고, 가장 먼저 전투 준비된 항공대가 벨로루시 공화국 비행장에서 이륙하여 우크라이나 영토 내의 표적을 타격하기 위해 집단으로 집합하였다. 제18 Gv.ShAP의 Su-25 5기와 제277 BAP폭격 항공 연대의Su-34 4기가 루니네츠 및 리다 비행장에서 거의 동시에 이륙하기 시작하였다. Su-25의 목표는 키예프 지역에, Su-34는 체르니고프 주 측면으로 향했다. 각 집단은 제23 IAP전투 항공 연대의 Su-35 5기로 엄호받았으며 이 집단은 제610 TsBP PLS비행 요원 전투 적용 및 재교육 센터의 A-50 및 IL-22 집단에 의해 조정되었다. 3월2일 밤 키예프 주 공역에 진입한 Su-25는 이르펜 근교 북쪽의 VSU 거점을 폭격하였다. 귀환하는 동안 Su-25 중 하나가 PZRK휴대용 방공 로켓 복합체, MANPADS에 피격되어 손상되었다. 이르펜 이후 Su-25는 모티진 지역의 VSU 거점을 타격할 예정이었다. 40 BrTA전술 항공 여단의 MiG-29 2기가 엄호 집단의 로켓 사정권 내에 들어온 Su-25를 요격하기 위해 출격하였다. 한 기는 격추되어 조종사 알렉산드르 브린잘라가 사망하였고, 나머지 한 기는 도피에 성공하였다. 이르펜에서 귀환하는 동안 손상된 Su-25 1기가 추락하였고 조종사 이반 레드코카쉰은 탈출하여 낙하하였으며 소총탄에 피격되어 최근방 식림대에서 부상을 처치한 후 우군이 통제하는 영토로 향할 수 있었다.

5

이르펜 하늘에서의 사건 후 지상에서의 행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공수대가 부차와 고스토멜 pgt를 떠나 공항으로 후퇴하였다. 3월 2일 아침 부차와 고스토멜 지역의 VSU 정찰원 및 관측원들이 러시아 구분대의 후퇴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VSU 지휘관은 부차에 진입하여 이를 통제하기로 결정하였고, 부차와 고스토멜 pgt에 진출하여 완전히 통제한다는 목표를 위해 중대 강습 집단을 편성하였다. 공수부대가 고스토멜 공항 측으로 부차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하자 공세 계획에 따라 제234 Gv.DShP의 BTGr이 네미샤에보 방향으로 진출을 시작했으며, 동시에 즈드비제프카 쪽에서 제137 Gv.PDP의 BTGr이 제173 ORB와 공조하여 네미샤에보 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VSU 총참모부 견해에 따르면 3월 2일 정오부터 특정 방면에서 우크라이나군이 주도권을 가져가기 시작하였다.

12:00까지 제234 Gv.DShP BTGr 선견대는 블리스타비차 마을을 통과하여 병사 집단이 있는 VSU 검문소가 위치한 미로츠코에 교외의 교량에 접근하였으며 공수대는 이들과 총격전을 벌였다. 공수군 BTGr 사령부는 만성적인 대치에 들어가지 않고 우회로를 찾기 위해 대열을 우측으로 돌리기로 결정하였다. 로카치 하상河床을 지나 좌회전하여 공수대는 미쿨리치 북쪽 근교에 도착하였다. 대열은 댐을 따라 지나갔고 약 15:00에 네미샤에보 외곽으로 진입하여 철로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네미샤에보에서 공수대의 전진은 지역 주민들과 VSU 정찰원에 의해 기록되었다.

6

차례로 전차와 기타 장갑차량 및 자동차로 지원받는 몇몇 혼성 중대로 구성된 VSU 강습 집단이 보크잘나야 거리를 따라 부차로 나아가기 시작하였다. 이 방면에서 이르펜에서 주력이 철수하고 난 후의 방위와 엄호는 소보르나야 거리에 있는 TTs쇼핑 센터 "지라프"에 위치한 중대에서 수행하였다.

좌익左翼에서 VSU는 전차와 장갑차 및 자동차 수 대로 증강된 중대를 보르젤 교외 측으로 보내었고, 이르펜 근교 서쪽의 VSU 혼성 중대가 엄호하는 이 집단은 네미샤에보 ─ 부차 ─ 이르펜 분기점을 점거할 예정이었다. 우익右翼에서는 장갑기술품으로 지원받는 VSU 혼성 중대 2개가 고렌카에서 진출하여 고스토멜 pgt를 차지하고 스뱌토-포크로프스카야 도로를 통제하여야 했다.

15:00 이후 제234 Gv.DShP BTGr 주력이 네미샤에보를 통과하여 근교 동쪽에 도착하였으며 보르젤 쪽으로의 역주力走 전에 임시 주둔지가 조직되었다. 16:00 이후 공수군 BTGr 선견대가 네미샤에보를 나서 키체예보와 루베제프카를 통과해 보르젤에 도달하였고 교외 정찰을 수행하였다. 동시에 VSU 강습 중대가 부차로 지속적으로 유입되었으며 보르젤 근교와 고스토멜 pgt의 유리공장 지대에 거점을 마련하였다. 바르샤바 간선 지역과 보르젤 외곽의 VSU 좌익 신규 방위 경계는 전차와 수 대의 장갑차 및 자동차로 증강된, TrO "아조프", 제80 ODShBr 및 GUR총정찰국 병사들로 구성된 혼성 중대가 설정하였다. 고스토멜 pgt에 있는 VSU 우익에선 GUR 제10 분견대와 공조하며 다수 BBM을 지원받는 여러 자원병 분견대로 구성된 혼성 중대가 활동하였다. 유리공장 지대와 레쿠노프 로에서 방위를 점유한 VSU는 고스토멜 pgt, 이르펜 교외 서쪽, 부차 교외 동쪽으로 가는 주요 경로를 통제하였으며 우크라이나 분견대는 유리공장 노동자들과의 협업으로 방위선을 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르펜 거주민들을 위해 시 행정부는 도시의 대피를 제안하였으며 이르펜 방위 사령부에 따르면 3월 2일 말까지의 상황은 고무적이었고 보르젤 및 고스토멜 pgt의 도로 통신은 통제 하에 있었으며 부차에서는 도시가 정리되었고 완전한 통제에 있었다.

3월 3일 아침은 VSU가 부차의 완전 통제권을 잡고, 일부 우크라이나 분견대가 블리스타비차 마을로 이동을 시작하며 밝아왔다. 러시아 구분대는 부차 시와 고스토멜 pgt를 완전히 버리고 공항 지역으로 후퇴하였다. 이르펜의 일부 주민들은 이 시기 즈음 도시를 떠났고, 도시 주변의 교량은 사전에 폭파되어 사람들은 스토얀카로 통하는, 이르펜 남부에 있는 단 하나의 경로만을 통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후 일부는 벨라야 체르코프로, 또 일부는 키예프 ─ 지토미르 간선을 따라 이동하였다.

7

부차의 완전통제를 기념하기 위해 VSU는 시 행정부 건물 위에 우크라이나 국기를 게양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때까지 남아있던 부차 지역 거주민들의 대피가 시작되었고 일부 송전선의 복원도 시작되었다. 우크라이나 측의 의견으로는 보르젤 ─ 부차 ─ 이르펜 ─ 고스토멜 pgt 지대의 지위가 안정화되었으나 공수군 BTGr은 이들 지역에서 VSU 주력 집단을 공위하기 위한 주 행위를 시동하였다. 거의 동시에 두 공수군 집단이 진격하였다: 제31 OGDShBr의 두 번째 대대인 한 BTGr이 공항에서 고스토멜 pgt 방향으로, 네미샤에보 쪽에서 제234 Gv.DShP의 다른 BTGr은 보르젤로 향하는 선견대에 합류하여 어려 방면에서 보르젤 동쪽 외곽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3월 3일. 익측 전투

보르젤 근교에서 BPLA를 이륙시킨 VSU 병사는 자신의 진지에서 800m 가량 이격된 러시아군 대열을 식별하였으며, 포병을 대열에 조준하였을 때 도로 분기점에 있는 VSU 주요 방위소에 접근하는 두 개의 대형 대열을 더 확인하였다. 이는 보르젤에서 지토미르 간선을 통한 대열의 통과를 기다리는 우크라이나 부대의 방위 시스템을 사전에 식별한 제234 Gv.DShP BTGr 주력이었다. 공수대는 주택을 따라 전진하며 VSU 방위를 우회하고 공위하였다.

8

동시에 좌익에서는 제31 OGDShBr의 또 다른 선견대가 스뱌토-포크로프스카야 거리를 따라 고스토멜 pgt 측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공수대는 ZhK주거단지 "포크로프스키"를 장악하고 그곳에 PVD임시 주둔지를 배치하여 고층 건물에서 정착지 전체를 잘 조망할 수 있었다. 우크라이나 포병은 배치된 공수대에 사격을 가하기 시작하였고, 당시 지역 거주민들이 아직 위치하던 고층 건물을 주로 공격하였다.

PVD 배치 이후, 공수군 선견대는 유리공장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BPLA의 조력으로 이를 미리 식별한 VSU 병사들은 전투를 준비하며 공수군의 출현을 대기하였으며 제72 OMBr 포병이 공수군 BTGr 선견대를 겨냥하였다. 스뱌토-포크로프스카야 거리를 따라 순행하던 대열은 포격을 받고 이후 다수 측면에서 매복 공격을 받아 큰 손실을 입은 후 ZhK "포크로프스키"로 후퇴하였다. 13:00 공수군 분견대가 유리공장 지역에서 후퇴한 후 고렌카 지역에서 파악된 포병 진지와 유리공장 방위 진지에 대한 제압이 시작되었고 포격은 고스토멜 pgt 외곽의 2S9 자주포와 오죠라 마을 지역의 D-30 곡사포를 통해 늦은 저녁까지 이어졌다.

9

좌익에서는 공격이 실패로 돌아갔으나 우익에서는 제234 Gv.DShP 병사들이 적의 포병 포격 하에서 기만적 기동을 통해 VSU 방위에 접근하고 격파하였으며 "Willa San Marino" 호텔 단지로 밀어젖혔다. 우크라이나 병사들을 호텔 단지에서 즉각적으로 퇴실시키는 것은 불가했고, 2S9 자주포의 작업으로 이들을 건물 지하로 몰아넣었다. 이후 호텔 지하의 우크라이나 전투기들을 봉쇄할 소수의 공수군 병력만을 잔류시키고 BTGr 주력은 다수 방면에서 공세를 재개하였다. 수 차례 VSU 제대가 "Willa San Marino"에 포위된 병력을 봉쇄해제시키려 시도하였으나 결과는 얻지 못한 채 손실을 입고 퇴각하였다. VSU 포병은 호텔 단지를 봉쇄하는 공수대와 보르젤을 통과하는 구분대를 격파하기 위해 RSZO다연장 로켓 발사기와 포신 포병 모두를 사용하여 포격하였다. 보르젤 근교에서 큰 피해를 입고 더 이상 조직화된 전투 단위를 대표하지 못하는 VSU 혼성 중대는 부차 지역으로 철수하기 시작하였고, 일부 병사들은 민간인 복장으로 환복하여 민간인을 가장하여 우군의 영토로 진입하려 시도했으며 부차의 VSU 분견대가 이들의 후퇴를 엄호하였다. 퇴각하는 우크라이나 병사들을 뒤따라 제234 Gv.DShP BTGr의 일부가 부차에 있는 VSU 주력 집단을 차단하고, 우크라이나 포병이 박격포 철도 노반路盤으로 굴절하여 야블론스카야 거리로 향해 공수대를 향해 집에 숨어서 사격을 가하는 우크라이나 군인을 찾기 위해 부차 구획의 근교 서쪽을 샅샅이 수색하기 시작하였고, 박격포와 우크라이나 포병도 사격하였다.

그리하여 12:00 이후 공수군 BTGr 선견대가 부차 근교 서쪽으로 진입하여 야블론스카야 거리에서 우크라이나 병사들과 총격전을 벌였다. 동시에 지역 거주민들이 우크라이나 포병의 사격과 거리 총격전의 희생자가 되었다. 다수 BMD에 있던 소규모 공수군 분견대가 야블론스카야 거리로 돌진하다 TTs "지라프"로 방향을 틀어 VSU 방위에 난입하여 전투에 참가하였다. 우크라이나 측은 지역에 T-64 전차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전차가 BMD 중 하나를 명중시켰다. 공수군이 보유한 여분의 BMD는 우월한 VSU 병력에 맞서 전투를 벌여 손실을 입힌 후 부차 외곽 서쪽으로 후퇴하였다. TTs "지라프"에서 손상된 BMD-2 승무원 중 하나가 전사하였고, 병사 중 한 명이 생포되었다.

3월 3일 저녁까지 전개된 상황은, 좌익이 부차 외곽 동쪽에 도달하여 공위를 폐색할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하여 부차의 VSU 주력을 신속하게 포위할 수 없었다. 저녁까지 제234 Gv.DShP BTGr은 부차 외곽 서쪽에 PVD를 설치하고 통제 구역을 확장하여 다음날 또 다른 투입 전에 견지堅持하였다. 네미샤에보 측에는 제173 ORB와 협동하여 제137 Gb.PDP BTGr이 증강을 위해 이동하였다. 소수의 잔여 우크라이나 병사들은 야밤에 "Willa San Marino" 지하실에서 나와 우군 영토로 돌아갈 수 있었다. 공수대의 진격 대열을 향해 발사한 VSU 포신 및 반응 포병은 주로 보르젤의 주거 지구를 강타하였다.


3월 4일. 익측 전투

이르펜 교외에서 전투 행위가 재개되자 지역 거주민들은 계속해서 도시와 주변 정착지를 떠났다. 이러한 조처는 지방 당국과 키예프 행정부에서 조직한 것으로 이는 대규모 대피가 아니었고 주민들에게 어떻게든 자신들 스스로를 정당화하고 최소한의 대피와 염려의 외관을 보이려는 미약한 시도에 불과하였다. 이 날까지 약 2천 명이 대피할 수 있었으나 전투 행위 지역에서 남성 인구의 대피는 예정되지 아니하였다. 부차 시장은 상황이 통제되고 있으며 VSU가 시를 방어하고 있다고 모두를 안심시켰다. 이르펜에서 공수대, 그리고 지토미르 간선에서 차량화소총병 및 전차대의 키예프 근교로의 신속한 진출은 이루어지지 아니하였고, BTGr은 VSU 방위에 돈좌되어 완만하게 전진하였다...

10

고스토멜 pgt 유리공장의 VSU 방위 진지를 제압하기 위해 제18 Gv.ShAP의 Su-25가 타격에 할당되었다. 3월 3-4일 밤 벨라루스 공화국 비행장에서 이륙한 제277 BAP의 Su-34 4기가 제23 IAP의 Su-35 4기에 의해 엄호를 받으며 체르니고프 측으로 향하였고 제18 Gv.ShAP의 Su-25 4기 및 제277 BAP의 Su-34 2기가 제23 IAP Su-35 4기의 엄호 하에 키예프 방면으로 날아갔다: Su-25는 고스토멜 pgt 유리공장 지역을, Su-34는 보로얀카 지역을 타격하여야 했다. 약 9:00 Su-25가 쌍으로 나뉘어 유리공장 지역 VSU 진지에, 그리고 포병 및 박격포 포대가 위치한 고렌카 지역을 타격하여 대규모 격멸을 촉발하였다. 항공대 처리 후 제31 OGDShBr BTGr 주력이 전투에 돌입하여, 우크라이나 포병의 포격 하에서 방어 중인 우크라이나 병사들에게 기민히 약진하여 제압하고 큰 손실을 가했으며 유리공장과 그 인근 거리 지역 전체를 점유한 후 공수대는 며칠 간 이 진지에 머물렀다. 중대 잔여 우크라이나 군인들은 고렌카로 철수하였다. 유리공장 진지를 손실한 후 우크라이나 포병은 고렌카와 키예프 교외 북서 외곽에서 공항 지역과 고스토멜 pgt의 제31 OGDShBr 부대 PVD에 포격을 가하였다. 다음 날 고스토멜 pgt ─ 고렌카 ─ 이르펜 지역에서 활동하는 제31 OGDShBr 부대의 증강을 위해 제98 Gv.VDD 산하 제217 Gv.PDP가 투입되었다.

이르펜에서는 당일 현지 당국이 삼천 명의 민간인을 대피시킬 수 있었다. 우익에서는 제234 Gv.DShP BTGr의 공수대가 공격으로 전환하여 VSU의 소형 장애물заслон을 무너뜨리고 부차 외곽 서쪽의 주거 건물을 급습하기 시작했으며 조직화된 저항 근거지очаг를 제압하기 위해 2S9 자주포의 지원을 받았다. 공수 분견대는 하루 종일 부차 서부 교외를 정리하였다. 제234 Gv.DShP BTGr이 부차 외곽으로 통제 구역을 확장하는 동안, 제137 Gv.PDP BTGr은 제173 ORB와 협동해 이르펜을 향한 공세를 대비하여 미하일로프카-루베제프카 인근 철로 지역 및 우치호즈 정원에 대대 집단의 낙오 부대를 수용하고 규합하였다. VSU 포병 외에도 제7 BrTA의 Su-24가 보르젤을 통과하는 대열에 대해 작업하기 시작했다. 부차에 주둔하는 VSU 중대는 도시를 버릴 의향이 없었고 도시를 계속 점유하며 도시 교외 서쪽에서 방어전을 수행했다.

VSU 주력은 부차 중심부와 이르펜 북서부 교외에 집중되어 있었고, 정찰 대대로 증강된 추가 BTGr이 미하일로프카-루베제프카 지역에 주둔하고 있어 야간에는 양 방면에서의 신속한 돌진을 통하여 ZhK "그린-야드" 다층 빌라에 입장했고 BMD 60여 대를 배치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어질 도시 강습을 위한 교두보를 보장하였다.


3월 5일. 부차 포위 및 이르펜 진입

오전 5시 경 이르펜의 ZhK "그린-야드"에 위치한 제137 Gv.PDP BTGr 선견대 및 제173 ORB 일부가 공세로 전환, 도시 심부를 향해 전진하기 시작하여 공위망을 형성하고 부차 중심부와 이르펜 교외 북서쪽을 견지하던 VSU 집단을 차단하였다. 부차 외곽 서쪽에서 이르펜으로 공세가 시작된 이후 제234 Gv.DShP BTGr의 공수대가 공세로 전환하여 부차의 VSU를 고착시켜 이르펜 서쪽으로 증원을 투사함을 방지하였고, 제31 OGDShBr BTGr 일부가 소규모 급습을 수행하여 고렌카의 VSU 병력들을 고착시켰다. 이르펜 심부로의 성공적인 진격에 더하여 활동 공수군의 강화를 위해 제137 Gv.PDP BTGr 및 제173 ORB 잔여 부대를 이전하였고, 이들은 부차 강을 통과하며 VSU의 전차포 및 박격포 포격, 주택 지붕 위 유탄수 및 저격수 집단의 사격을 받았으며, 우크라이나 Su-24가 해당 BTGr을 돈좌시키기 위해 공수군 대열이 통과하고 집중되는 보르젤 지역에 폭탄을 투하하였다. 지붕에 있는 적 반병들을 제압하기 위해 2S9 자주포 및 D-30 곡사포로 구성된 포병 포대가 노출된 표적을 향해 사격하였다. 이르펜 근교 서부에 배치되었던 VSU 소규모 분견대는 공수군 BTGr의 우월한 병력의 압박으로 도시 중심부와 교외 남쪽으로 퇴각하였다.

11

제137 Gv.PDP BTGr 및 제173 ORB 부대가 진입하였다.

12

이 즈음 이르펜에는 지역 거주민들 사이에 공황이 퍼져나갔고 사람들은 시가전의 카오스에 빠져 도시를 탈출하려 했다. 우크라이나 세력의 통제 구역인 이르펜 교외 동쪽 우크라이나 방위 후방에서 일어난, 민간인을 대피시키는 열차와 함께 철로 노상路床이 폭파된 사건은, 민간인들에게 절망과 고난의 상황을 조성하였으며 우크라이나 측은 고의적으로 이러한 도발을 실시하였다. 이르펜 시장은 대피를 위해 로마노프카 근처의 폭파된 교량 지역에 사람들을 집합시킬 것을 촉구하였고, 공수군 선견대가 이 지역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VSU 사령부는 정신을 차려 이르펜 중심부 및 남부로 퇴각하는 우크라이나 병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부차에서 이르펜으로 장갑차량을 이전하기 시작하였고, 이 시기 부차 교외 서쪽에 제234 Gv.DShP BTGr이 공격으로 전환해 야블론스카야 거리를 따라 이동하며 신속히 돌진하여 VSU 중대를 차단하기 시작하였는데, 공수군 BTGr 경로에는 공수대를 돈좌시키려 시도한 소규모 VSU 분견대가 위치해 있었다. 지역 거주민 모두가 러시아군의 전진을 관측하였고 BPLA와 도시 거리의 카메라에 촬영되었으며, 공수대 대열이 통행하는 과정에서 박격포와 유탄수 독립 집단이 그에 사격을 가하는 순간 다수 지역 거주민들이 사망하였으며 이에 "부차의 대량 학살"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동시에 우크라이나 측은 부차의 모든 사건에 대한 영상을 소유하고 있으나, 자신들이 원하는 편견대로 영상을 절단하여 텔레비전 화면에 비추고 대중매체에 배포하여야 했다.

소규모 VSU 분견대를 분쇄한 공수대는 야블론스카야 거리를 따라 전진하며 부차에서 깃눌린 우크라이나 강습 중대로부터 이르펜 수비대를 격리하였다. VSU의 사격을 받으며 전진하던 공수대는 좌회전하여 보크잘나야 거리를 따라 부차 중심으로 이동해 VSU 방위를 절반으로 절단하였다. 공수군 BTGr의 맹공을 견디지 못한 우크라이나 병사들은 군복을 벗어 민간복으로 환복하였고, 일부 병사들은 군복을 군복을 전혀 입지 않은 채 무기를 은폐하고 민간 아파트와 주택 지하고подвал와 지하실погреб에 숨어있으려 하였다.

VSU의 조직적인 저항이 진압된 이후 공수대는 수일 간 부차의 주택과 아파트 지하고에서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생포하였다. 단지 소규모 VSU 분견대만이 연쇄적 공위환이 부재하였던 고스토멜 pgt 지역을 돌파할 수 있었다.

부차, 고스토멜 pgt의 상실과 이르펜에 공수군 BTGr의 돌파구로 인하여 VSU 사령부는 러시아 집단의 공세를 돈좌시키기 위해 장갑차와 수 대의 전차로 강화된 추가 중대를 투입하려 시도하였다. 제137 Gv.PDP BTGr 전체 및 제173 ORB은 병력을 2분할하여 한 부분은 이르펜 중심부로, 다른 하나는 교외 남쪽으로 성공적으로 전진하였다. 도시 심부 공수군 대열 경로에는 전차가 매복하여 이로 인해 BMD 수 대가 파손되었고 공수대의 진격이 둔화되었으며, 도시 거리와 지붕에 유탄과 저격소총으로 장비된 독립 분견대가 공수대를 공격하였다. 공수대는 글린카 골목의 숲을 따라 이르펜 남부 근교로 진격하여 로마노프스카야 다리로 퇴각하던 VSU의 작은 장애물과 싸웠다. 공수군 BTGr 일부는 이르펜 남부 외곽 전투를 겪고 BMD 수 대를 손실하여 교량이 파괴되고 VSU 거점이 존재하여 로마노프카로 갈 수 없었기에 스토얀카로 우회전했다. 이르펜 강을 따라 통행해 스토얀카로 방향을 튼 공수대는 우크라이나 Su-24의 공습을 받았으며 3월 5일 말에는 지토미르 ─ 키예프 간선로에 접근하였다.


결과 및 여파

따라서, 3월 1일 부차를 떠난 러시아 공수군 BTGr은 통제 구역을 크게 확장하였고 대대 이상급 전력으로 우크라이나 부대를 격파할 수 있었다. 3월 6일까지 양 대치측 간 투쟁 형태는 진지적 특성을 획득하였고, 다수 군인의 존재는 VSU에게 장기적 대치에서 크지 않은 러시아군에 대비한 이점을 제공하였다. 이르펜에서의 전투는 각 주택과 거리에서 약 한 달 간 지속되었다. 3월 한 달 동안 러시아군은 도시 지구 및 이르펜 강을 따라 통제 구역을 확장하여 보르젤, 미하일로프카-루베제프카, 자부치에, 고스토멜 pgt 및 드미트로프카와 같은 정착지를 통제하였다. 러시아 집단은 전선에서의 양태положение를 현저히 개선하였고 지토미르 ─ 키예프 간선 측에서 키예프 외곽 서쪽으로 진출하였다.

이르펜 시를 부분적으로 통제 하에 둔 후 3월 5일 이후 러시아 집단 사령부는 키예프 교외 북서부에 도달하기 위한 작전의 신규 단계를 개시함으로 전투 행위는 모슌 ─ 구타-메지고르스카야 마을 지역으로 이전되었다.

View orig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