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репость Кузнецов

제2차 세계대전 간 소비에트 군사술 (전쟁에서의 급진적 변화와 승리의 완성)

군사 사상ВОЕННАЯ МЫСЛЬ №8 2009

A.I. 칼리스트라토프
퇴역 대령
군사과학 부박사кандидат


1942년 여름 독일군의 성공으로 히틀러 사령부의 머릿속은 분명하게 바뀌었다. 파시스트 장군들은 적을 무시하기 시작하였고, 붉은 군대와 그 지도부를 "멸시 이하" 수준에 두었다. 이것만이 우익측에 여느 충분한 작전적 예비가 부재한 상태에서 카프카스와 스탈린그라드 방면을 따라 분기되어 전선의 연장도를 과하게 신장시킨 독일 "A" 및 "B" 집단군의 추계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

독일의 인적 자원은 베어마흐트가 전체 전선에서 겪기 시작한 막대한 손실만을 보상하기에 급급했다. 따라서 독일군 타격 집단 간의 거대한 간격은 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와 같은 동맹국 군대가 엄호하여야 했다. 이러한 편제формирование의 조악한 질로 인하여 남서부 방면에서 파시스트 대부대объединение의 작전적 양태положение가 급격히 악화되었다.

소비에트 사령부는 이를 이용하였다. 적군 스탈린그라드 집단 익측에 강력한 타격을 가한 붉은 군대는 문자 그대로 그들을 엄호하고 있던 루마니아와 이탈리아 군을 일소하였고 독일군의 대규모 작전적-전략적 집단을 포위하고 섬멸하는 훌륭한 작전을 수행하였다.

이로 30만이 넘는 적의 제6군 전체와 제4기갑군 상당부를 포위하고 소탕하였으며, 9만 이상의 병사 및 장교들을 생포하였다.

이러한 사건의 발전은 스탈린과의 대결에서 신비로운 상징으로 여겨졌던 스탈린그라드에 매달린 그 순간에 나타난 히틀러의 고집과 독일군 전략 지도부의 놀라운 오만함으로 인했다. 완전한 우월성을 확신하며 효과적인 작전적 정찰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오랫동안 포위되었다는 사실 자체를 성가시긴 하지만 쉽게 수정 가능한 오해로 인식하였기에 적시적 상황 시정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아군의 전략적 역공контрнаступление이 전개되는 동안 소비에트-독일 전선 남익측에서 적의 작전적-전략적 이니셔티브를 차단하고 전략적 돌파구를 마련하였다. 소비에트 군이 로스토프로 신속히 출현하면서 "A" 집단군이 카프카스에서 포위될 위협을 조성하였고 다급한 후퇴를 강요하였다.

총체적으로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과 그 동맹국들은 150만 명이 사망, 부상 및 생포되었다 (당시 소비에트-독일 전선 병력 전체의 사분지 일). 1939-1941년 및 1942년 여름에 전격적인 승리를 거둔 독일제 무기의 영광은 볼가 강안에 매장당했다. 독일의 승리의 시간이 끝났고, 전쟁에서 급진적 전환의 개괄이 그려졌고 침략군은 서쪽으로 밀려났다. 이 전투에서 붉은 군대 또한 병력 110만 명 이상, 전차 4341대, 항공기 2769대와 같은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1.

스탈린그라드의 승리는 G.K. 주코프의 지도 하에 르제프-뱌즈마 돌출부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 다른 대규모 작전 "마르스"에 의해 촉진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적 전략적 예비의 상당수를 "유인"한 것은 바로 이것이었다. 또한 여러 전선에서 수행한 일련의 개별적 공세 작전을 통하여 히틀러주의자гитлеровец, 나치들이 전선에서 상당 병력을 빼 스탈린그라드로 이전시키는 것을 허용치 않았다.

1943년 여름까지 지상군의 작전적 이동성 면에서 적과의 비율은 동일하였다. 군의 작전적 지도력 수준도 동일해졌고, 전략적 규모에서는 능가하였다.

이 모든 것이 인해 일부 전문가들이 제2차 세계대전 간 유럽에서 가장 거대했던 회전сражение, 會戰으로 간주하는 쿠르스크 전투에서 적의 전략적 이니셔티브를 탈취할 수 있게 하였다. 전략적 이니셔티브의 탈취는 극도로 부담스러운 조건에서 연합군의 직접적 지원 없이 수행되었음을 강조해야 한다.

양측에서 투입된 예비를 고려하면 병력 400만 명, 전차 1.3만 대, 항공기 1.2만 대 이상이 해당 전투에 참가하였다! 히틀러주의자들이 이렇게 제한적인 구획에서의 공세를 위해 이리도 막대한 공세력을 집중한 적이 없었으며, 붉은 군대 또한 그리도 방대한 군사-기술력으로 대항한 유례가 없었다.

처음에 붉은 군대는 용이한 승리의 전망으로 히틀러 사령부를 유혹한 쿠르스크 돌출부에 대한 의도적인 전략적 방위 수행 과정에서, 독일 전역에서 짜낸 적 최후의 전략적 예비를 "탈곡"시켜 군 타격 집단에 포함시켜야 했다. 이후 소비에트 군은 전략적 역공으로 전환하여 이들의 격멸을 완료했으며, 종전까지 히틀러주의자들은 대규모 공세 작전을 수행할 가망성, 즉 전략적 이니셔티브 현현 기회를 박탈당하였다.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군은 병력 50만, 전차 1.5천, 항공기 3.7천 가량을 손실하였다2. 심리적 피해는 더욱 컸다: 전쟁 전체에서 처음으로 신중히 준비된 베어마흐트의 대규모 하계 공세가 완전히 실패하였다. 파시스트 블록 정부들의 전략적 가망성은 계궁역진計窮力盡되었다. 적의 기갑 타격은 더 이상 충분한 수의 보병과 필요한 화력을 지원받지 못하였고 손실 보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를 따라가지 못하였다.

1944년 초까지 아군은 1선первоклассный 전차군 6개 및 그 당시에 최적의 조직-정원 구조를 갖춘 독립 전차 및 기계화 군단 30개3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군이 귀중한 전투 경험을, 지휘관과 사령관이 전투 및 작전적 기량을 습득했다는 점이다.

당사자들 간의 대치에서 최종 전환점이 있었고, 자원 면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전반적 우위와 함께 연합군의 제2전선 개방은 침략자의 운명을 예정하였다. 적은 신속한 속도로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파멸적인 공세 작전으로 격멸되었다.

여기에는 적의 "청색선", "미우스 전선"에서의 결정적 돌파, 돈바스 해방, 750km 연장에 달하는 드네프르 강 경계를 따라 이른바 동방장벽ostwall의 광휘로운 극복 등이 있었다. 동계의 도로 결여와 춘계 라스푸티차의 혹독한 조건에서 수행된 우크라이나 우안 독일군의 치명적인 격멸과 적 방위에 대한 전략적 돌파구 형성으로 이어졌고 그동안 붉은 군대는 4개월 간 250-400km를 진격하여 USSR 국경에 도달하였다. 이 전투는 1400km에 달하는 전선에서 최대 병력 400만, 전차 4.2천, 항공기 4천 이상과, 그리고 처음으로 소비에트 전차군 6개 전부가 투입되었다4.

이 전투 중에 수행된 코르순-셰브첸코프스키 공세 작전에 주목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작전에서 N.F. 바투틴 및 I.S. 코네프 장군의 전선 군армия은 동계 라스푸티차 조건에서 약간의 병력 우세만을 가지고 10개 사단으로 구성된 적의 대규모 군 작전 집단을 포위하고 섬멸하였다. 동시에 포위망 외부 전선에서 전차 사단 8개가 투입되어 적의 격렬한 타격을 지속적으로 격퇴하여야 했다.

또한 벨로루시에서 소비에트 군의 전략적 돌파구가 있었고 이 동안 독일 "중부" 집단군이 완전히 격멸되었으며 회복불능 손실이 53.9만 (사상 38.1만, 생포 15.8만) 에 달하였다5. 다수 독일 군사 전문가들에 따르면, 벨로루시에서의 재앙은 동부에서 독일군의 조직화된 전략적 행위를 종식시켰다.

여기에서 제1 우크라이나 전선의 르보프-산도미르 공세 작전에서 I.S. 코네프 원수는 콜투프 지역 폭 4-6km의 협소한 회랑을 통해 순차적으로 2개 전차군을 전투에 투입하였다. 적 방위 작전 종심에서 이들 군의 신속한 기동이 작전의 운명을 결정하였다.

적 "남우크라이나" 집단군의 25개 사단을 포위망에 몰아넣어 그 중 18개를 섬멸하고 10만 명 이상을 생포한 야시-키시뇨프 전략적 작전은 말할 것도 없다. 우리의 손실은 6.7만 명, 전차 75대와 포병 105문 뿐이었다!6

동부, 중부 유럽 및 만주에서 적군이 훌륭히 수행한 전략적 공세 작전이 포함된다. 특히 유럽에서의 작전은 독일군의 저항 격화 수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수행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결국 베어마흐트의 모든 병사, 장교 및 장군들은 히틀러주의자들이 소련 영토 점령지에서 저지른 잔학 행위에 대해 필연적으로 독일 인민들이 그 대가를 치러야 함을 완벽히 이해하였기에 운명의 절망과 맞서싸웠다.

그러나 대조국전쟁 동안 붉은 군대는 세계 군사술의 보고에 헌정될 가치가 있는 수십 개의 화려한 작전들을 수행하였다.

전쟁 말기 소비에트 군 최고의 군사술의 한 예시는 1945년 4월 베를린 전략적 공세 작전 간에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전차군이 텔토프 운하를 강행도하한 것이다.

1945년 4월 20일, 전선 공세대의 작전 상황은 극도로 복잡하고 모순적이었다. 전선 대부대는 문자그대로 모든 방위각에서 치열한 전투를 치렀다. 서쪽에서는 제13군과 제4 근위 전차군 제6 근위 기계화 군단이 히틀러의 지령에 따라 베를린으로 돌진하던 독일 제12군의 타격을 격퇴하였다.

남쪽에서는 제5 근위군이 라이프치히 방면에서 미군 쪽을 향해 완고히 전진했다. 더 남쪽에서는, 전선 남쪽에 배치된 제1 근위 기병 군단, 폴란드 제2군 및 제52군이 드레스덴 방면에서 적의 맹렬한 타격을 격퇴하고 있었으며 또한 베를린으로 진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베를린 남동쪽에서는 전선 동쪽에 배치되었던 제28군이, 남쪽에서는 전선 북쪽에 배치되었던 제3 근위군이 제1 벨로루시 전선 두개 군과 공조하여 적의 프랑크푸르트-구벤 집단 (제9 및 제4 기갑군) 의 군대가 "방황하는 포위망"의 서쪽 방면으로 천천히 편류偏流하는 것을 저지하고 쓰러트렸다. 스타브카 결정에 따라 북쪽으로 방향을 튼 전선 전차군 2개가 남쪽에서 베를린으로 접근하였다.

1945년 4월 22일 말 12km 전선의 P.S. 리발코 장군 산하 제3 근위 전차군은 베를린 남부 외곽에 당도한 후 심대한 수장애물인 텔토프-운하 (폭 30-50m, 수심 2-4m, 가파른 철근콘크리트 제방) 를 마주하였다. 최대 1.5만의 히틀러주의자들이 전차 130대와 포 250문으로 반대쪽 강안江岸을 방어하여 수도 산업 건축물을 실제 요새 지대로 전화轉化시켰다. 강행돌파는 실패하였다.

I.S. 코네프 원수는 당면한 상황의 임계점이 베를린임을 잘 이해하였다. 이의 함락은 전선의 모든 문제를 즉각적이고 명쾌하게 해결될 것이었다: 적 제12군 및 드레스덴 집단의 광포한 공격이 중단되고 제9 및 제4 기갑군의 피포위 제대는 항복. 그렇기에 원수는 바로 이 시점에서 모든 자원을 집중하기로 결정하였다.

단기간 준비 후 운하를 강행도하하기로 결정하였다. 같은 날 밤 I.S. 코네프 원수는 제10 포병 군단 및 제25 돌파 포병 사단으로 군을 강화했으며 이들은 4월 23일 제5 근위군 공세대에서 150킬로미터를 이동하는 난해한 재편성을 실시하여야 했다.

또한 군 예비로부터 제48 소총병 사단, 제23 방공 포병 사단 및 제16 공병 강습 여단이 배속되었다. 강제도하 준비에는 24시간이 할당되었다.

ris 1 그림 1. 1945년 4월 말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전차군의 텔토프-운하 강행도하

주로 노력은 최대 포 및 박격포 3천 문과 군의 모든 전차 및 SAU가 직접 사격에 투입된 제6 전차 군단 선조線條 4.5km 구획에 집결하였다. 화력 수단 밀도는 1km당 폐쇄 포진지 사격용 포 및 박격포 315문, SAU 35대, 전차 90대, 그리하여 직사에 할당된 모든 수단을 고려하면 최대 700문이었다!

4월 24일 6시 20분, 55분간의 포병 준비사격 이후 제6 근위 폭격 항공군단이 출격하였다. 화력 타격 간 제48 소총병 사단이 제6 전차 군단 선조에서 즉석 수단으로 운하를 강행도하하였다. 13시까지 군단 전차가 통행할 부교 두개 중 하나가 건설되었다. 주간에는 교두보 확장을 위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일말 2-2.5km까지 깊어질 수 있었다. 적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나머지 군 군단 선견대는 제방에 고착되었다. 남은 낮, 저녁, 밤 군의 제9 기계화 군단과 제7 전차 군단이 교두보로 이전되었다. 이로 4월 25일 밤 제3 근위 전차군이 베를린에 입성하였다.

4월 24일 말까지 훨씬 더 서쪽에 있던 D.N. 렐류셴코 장군의 전차 군단과 제4 근위 전차군은 텔토프-운하에 도달하였다. 4월 25일 밤 I.S. 코네프 원수의 결정에 따라 군은 제3 근위 전차군 선조로 기동하여 다리를 따라 반대편 제방으로 이동하였고 아침에는 도시 남쪽 외곽에 도착하였다7.

인용된 사례는 소비에트 사령부가 군 작전 집단을 지도하는 데에 있어 최고의 술을 지녔었음을 증명한다. 우리 군지휘자들은 기습 요인을 사용하고, 작전 수행 과정에서의 급격한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병력 및 수단의 결정적이고 역동적인 기동을 수행하였으며, 적의 중요 지점에 병력 및 수단을 빠르고 강력하게 집중한 후 달성된 성공을 기민하게 확대하고 안정적으로 확보하였다. 이는 소련 인민 극고의 노력과 연합군의 지원을 통해 전쟁 동안 만들어질 수 있었던, 무장전 수행을 위한 질적으로 새로운 물질적 기반과 군의 방대한 전투 경험에 의해 크게 촉진되었다.


전략의 개발.

우선, 살아남은 독일 장군들의 대부분이 전후 저술에서 전략술 분야에서의 소비에트 지도부의 우월성을 분명하게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은 이른바 종심 전략이 지배적이었다 (표).

기계적 대공업 (19-20세기) 시대 제2차 세계대전기 (1939-1945년) 무장전 특성의 진화
ris 2

새로운 전략은 전면적 전선의 공세로 방어 영토에서 적을 지속적으로 몰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본질은 하나의 전략적 작전 도중 적 방위를 선택된 방면에서 강력하게 깨부수고, 적의 대형의 작전적-전략적 종심에서 항공대와 협동하여 전차군 및 기계화군 이동 대부대의 신속하고 중단없는 공세로 적절한 예비를 격멸함과 동시에 익측으로 우회하여 대규모 군 집단을 포위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그 궁극적 목표는 스타브카 VGK의 단일 구상 및 계획에 따라 여러 군사 캠페인을 연쇄적으로 실현하여 적의 영토를 점령하는 것이었고, 그 내용은 단일한 전략적 작전 구상들이 연결된 시스템이었다. 그렇기에 전략 행위의 주요 유형은 전략적 공세였다. 전쟁 동안 붉은 군대가 수행한 여덟 개의 캠페인 중 여섯 개가 공세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전략적 방위는 깊은 종심, 활동성, 다양한 형태와 수행 방법의 적용으로 알려졌으며 진격하는 적에 대해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대항을 보장하였다.

소비에트 군사 전략의 특이성으로는 적 후방에서의 대규모 파르티잔 활동에 의지하는 것이었는데, 1943-1944년 캠페인 간의 활성화는 적의 군 대규모 재편성 및 보급 파탄과 같은 전략적 효과를 동반하였다.

무장전은 천킬로미터급의 전면적인 전선에서 따라 수행되었으며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여러 작전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그 실시 과정에서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인 작전적-전략적 규모 및 전략적 규모의 종심 공세 작전, 항공, 해양, 상륙 작전이 등장하였다.

전쟁기 간 붉은 군대는 총체적으로 50개 이상의 전략적, 250여 개의 전선 및 1000개 이상의 군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이 중 2/3 이상이 공세였다8.

전쟁간 새로운 유형의 전략적 행위인 전략폭격의 태동으로 적 후방 종심에 있는 군사-경제 시설 및 행정 중심을 붕괴시키기 위한 공중 전략 작전이 출현하고 발전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불행하게도 붉은 군대를 이를 실시할 가망성이 부재하였다. 동시에 전쟁 중 우리는 공중 우세 확보를 목적으로 적 항공 집단 격멸을 위해 수천 대 규모의 전투 항공기를 투입한 자율самостоятельный 공중 작전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전략적 작전에서 중요한 부분을 점유하였다.

1941년 여름-가을 캠페인의 운명이 순차적으로 수행된 일련의 전선 작전에 의해 결정되었다면, 1942-1945년 군사 캠페인의 운명은 전략적 방면으로 배치된 전선 집단의 작전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이는 전략의 역할이 급격히 증대되고 전략적 통제술이 개선되었음을 증명하였다.

전략적 공세는 전략 혹은 작전-전략 이니셔티브를 실현하는 주요 형태였으며 원칙적으로 전체 캠페인 간에 수행되었다. 이는 소비에트-독일 전선 전체를, 혹은 그 대부분을 따라 스타브카 VGK의 단일 구상 및 계획에 의거하여 실시되었다. 이 공세에는 9-11, 또는 12개 전선 대부대가 참여하였으며, 또한 무장력의 다른 종류의 제대 및 대부대도 참여하였다. 500-600km 전선에서 개시되어 후에 2-3천km까지 확대되었으며 300-1100km 종심까지 수행되었다. 기간은 120일에서 170일 사이였다.

제병협동군 18-52개, 전차군 3-6개 및 항공군 8-13개가 공세에 참여하였다. 동시에 막대한 수의 전쟁 기술 수단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1945년 전략적 공세에서 최대 포 및 박격포 5만 문, 전차 7천 대 및 전투 항공기 1만 대가 사용되었다9. 동부 전선군에서 활동하는 전체 수의 60-70%에 달하는 적 사단 120-180개가 타격받았다10.

전선 집단 공세 작전에서는 전선 대부대 2-5개가 참여하였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군사 캠페인의 조합적 부분이었으며 단일 구상으로 연결된 전선 작전 시스템을 대표하였다. 이러한 작전은 700-1000km 전선에 배치되었으며 500-600km 종심까지 수행되었다. 작전 지속기간은 20-70일로 다양하였으며, 각 작전에는 사단 100-200개, 포 및 박격포 2-4만 문, 전차 및 SAU 3-6천 대 및 전투 항공기 2-7.5천 대가 투입되었다. 적 사단 30-80개가 타격받았다11.

전략적 역공은 전략적 방위 작전의 마지막 단계 혹은 완료 이후에 실시되며 공세 행위로 적 타격 집단을 격멸하여 적의 전략적 혹은 작전적-전략적 이니셔티브를 탈취하는 것을 목표한다.

전략적 공세 (역공) 의 형태 및 기법의 발전은 군 전략 집단의 구성과 타격력을 증강시키고, 작전의 전선과 종심을 확장하며 속도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다섯 가지 사례에서 이러한 작전의 결과는 적 전선에 대한 전략적 돌파였다. 1942/43년 겨울 스탈린그라드에서의 역공, 1944년 겨울 우크라이나 우안 해방 작전, 벨로루시, 야시-키시뇨프 및 비슬라-오데르 공세 작전에서 전략적 돌파구가 마련되었다12.

전쟁 중 전략적 공세를 수행하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첫 번째 방법의 본질은 전선의 다른 구획들에서 차례대로 공세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 경우 이전의 각 타격은 후속 성공에 기여했으며, 가해지는 장소와 시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적이 동일한 병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격퇴할 수 없게 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전투 행위 간 적의 모든 병력을 동시에 속박하여 전선을 따라 예비를 기동시킬 가망성을 박탈하는 것이다. 그 본질은 다수의 강력한 군 타격 집단을 편성하고 전선 전체를 따라 거의 동시에 공세를 전개하는 것이었다13.

통상적으로 공세는 적 방위의 전술적 돌파로 시작하여 작전적으로 발전하였다. 작전적 성과는 거의 항상 전략적으로 발전시키려 노력하였으며, 이는 종종 성공적이었다.

ris 2 그림 2. 전선 집단의 전략적 공세 작전에 적용되는 작전 기동의 형태

전선 집단 작전에서 사용된 이러한 기동 형태는 매우 다양했다 (그림 2):

특히 소비에트 사령부가 사용한 전략적 공세 작전 수행 기법은 병력 및 수단이 극도로 부족한 적에게 이러한 조건에서 유일하게 효과적인 전략적 기동 방어 원칙을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음을 강조하여야 한다. 적용된 작전 기동 형태는 고수준의 효력으로 작전을 실시할 수 있게 하였다.

불행히도 전쟁 이전의 전략적 행위의 유형으로의 전략적 방위는 이론적으로 이해되거나 실질적으로 숙달되지 아니하였다. 동시에 붉은 군대는 5.5개월 간 지속되었던 1941년 여름-가을 및 4.5개월 간 지속된 1942년 여름-가을 캠페인이라는 두 개의 방위 캠페인을 맞이하여야 했다. 이들의 주 내용은 4000km 전선과 600km 종심이 배치된 전략적 방위 작전이었다.

다양한 연유로 양 캠페인 모두 방위가 이동식 형태로 다급하게 준비되어 광활한 영토 포기를 강요당하고 대규모 군을 포위에 빠트렸다. 동시에 강력한 강화 지대로 변형된 대도시 (오데사, 레닌그라드, 키예프, 세바스토폴, 툴라, 스탈린그라드) 는 완강하고 지속적으로, 종종 완전 포위 상태에서도 스스로를 방어하였다. 방위 캠페인은 최후의 후퇴 경계에서 진지 방어로 전환되는 것으로 종료되었으며 종심 예비의 접근과 가을 라스푸티차의 시작으로 촉진되었다. 예비의 접근은 병력 및 수단의 비율을 변경하고 대항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개전 시 전략적 방위가 5개 전선에 의해 수행되었다면, 1941년 8월 캠페인에서 전선의 수는 10개로 증가하였다!

전략적 방위의 주 문제는 안정성устойчивость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방위 안정성의 기초는 무엇보다도 적 타격의 시간, 병력 및 방향의 정확한 결정과 이러한 방면으로 우리 군 집단을 충분한 힘으로 적시에 대치시키는 것이다.

이 캠페인에서는 첫 번째도 두 번째도 달성할 수 없었다. 그렇기에 적은 1941년 민스크, 뱌즈마, 키예프 지역에서, 1942년 여름에는 남서 방면으로 전략적 돌파를 4회나 수행하였다. 돌파의 결과로 형성된 거대한 간극을 메우기 위해 재차 편성된 전략적 예비와 국가의 다른 지역에서 이전된 군이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전략적 기동의 주요 형태는 적 돌파 방면으로 종심으로부터 병력 및 수단의 동중심同中心 기동이었다.

이를 위해 1941년 여름-가을 캠페인에서 환산расчетный 사단 약 300개가 활동 전선으로 향했다. 1942년 브랸스크, 남서부 및 남부 전선 퇴각군 후방에 재차 편성된 전선 대부대 4개가 돈 강을 따라 새로운 전략적 방위 경계를 급히 축조하였다14. 특히 이러한 규모의 전략적 예비를 창설, 준비 및 배치하는 관행은 세계 군사사에서 전례없었으며 여전히 이론적으로 잘 이해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적의 의도가 적시에 소명되고 충분한 병력과 수단이 존재할 때, 진지 형태 방위로의 의도적 전환은 더 강력하고 "경제적"인 무장전 유형으로 완전히 정당화되었다 (1943년 7월 쿠르스크 호 방위 작전).

소비에트 군 전략적 방위의 가장 특징적인 사항은 이들의 지속적인 반격контрудар, 개별적 공세 작전 수행, 적군에 대한 항공대의 영구적 영향 및 종심과 수동 방면에서 병력 및 수단 기동의 중단없는 실현을 통한 증대되는 저항력 확보 등의 활동성активность이었다. 아군 전략적 방위의 높은 활동성의 결과로 적 공세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1941년 여름 캠페인의 첫 3일 간 침략자가 150km 깊이까지 전진한 후 다음 3주 간은 하루에 25-27km 속도로 진격했다면, 9-10월 진격 속도는 일일 2-6km로 감소하였다!15

1941년 방위 캠페인에서만 전선 반격 및 개별 공세 작전이 약 40회 수행되었다고 말하기에 충분하다!16 이러한 작전들은 종종 상당히 높은 수준의 군사술로 실시되었다.

예시로, 1941년 7월 솔치 지역에서 제11군 병력이 가한 북서부 전선의 반격에서 군 소총병 제대는 제8 기갑사단, 제3 차량화사단 일부, 또한 무분별하게 멀리 돌진하였던 유명한 E. 만슈타인 장군이 지휘하는 적 제56 차량화군단 후방을 포위하고 격멸하는 데에 성공하였다17.

성공적인 개별 공세 작전의 예시로는 S.K. 티모셴코 원수가 훌륭히 수행한, 로스토프 인근의 남부 전선 군 및 제56 독립군이 병력 및 수단이 극도로 부족한 조건에서 카프카스로 신속히 돌입하려던 적의 계획을 파탄낸 것이 있다.

또 다른 예시로는 전략적 방위 작전의 일환으로 같은 S.K. 티모셴코가 지도한 옐레츠 개별 공세 작전 (1941년 12월 6-16일) 이 있다. 해당 작전은 남서부 전선 좌익의 2개 대부대 2개 병력이 모스크바 역공 성공에 기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작전 간 아군은 혹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소위 옐레츠 돌출부를 분절하여 독일 제34군단을 기민하게 포위하고 격멸하였다. 이들 중 2개 사단이 섬멸되었고, 독일 제2군 후방에 효과적인 타격을 가했으며 결과로 전선 라인을 서쪽으로 80-100km 가량 급속히 밀어냈다. 이 군을 강화하기 위해 적은 모스크바 방면에서 제2 기갑군 병력의 상당부를 이동시켜야 했다18.

소비에트 전략적 방위의 또 다른 특징적 사항은 종심 대형 (150-300km 서열) 이었다. 1941년 7월 및 8월 예비 전선은 서부 전선 후방에서 모스크바 방면으로 배치되었다. 두 전선의 작전 대형 종심은 300km로 안정적인 전략적 방위 창설에 기여하였다.

1943년 이후 전략적 방위를 수행하는 주요 형태는 전선 집단 방위 작전이었으며, 이로 기설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적 방면으로 배치된 이종 병력 및 수단을 가장 완전하게 통합하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1943년 쿠르스크에서의 전략적 방위는 군 방위선 3개, 전선 방위선 3개, 전략적 및 국가 방위 경계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모든 선조와 경계는 실제로 준비되고 있었고 중요 방면은 주로 군에 의해 점유되어 있었다. 방위선의 총 종심은 180-280km에 달했다.

전쟁 간 붉은 군대가 수행한 군의 전략적 재편성, 특히 만주 전략적 공세 작전 수행 준비 과정에서 전구 간 재편성과 같은 최고의 술에 주목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략의 발전은 의심할 여지 없이 작전술과 전술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특징은 향후 투고에서 논의될 것이다.


참고문헌

  1. Шефов Н. Битвы России. М: АСТ, 2004. С. 535-536.

  2. Там же. С. 282-283.

  3. Крупченко И.Е., Сергеев Л.В., Киреев Н.А. и др. Строительство и боевое применение советских танковых войск в годы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М.: Воениздат, 1979. С. 71-72.

  4. Шефов Н. Битвы России. С. 441.

  5. Там же. С. 54.

  6. Там же. С. 641.

  7. Конев И.С. Записки командующего фронтом. М.: Воениздат, 1982. С. 443-449, 465-470.

  8. Кривошеев Г.Ф., Андроников В.М., Буриков П.Д. и др. Гриф секретности снят. М.: Воениздат, 1993. С. 160.

  9. История военного искусства. М.: ВАФ, 1961. Т. 3. С. 564.

  10. Ларионов В.В., Антонов Н.А., Выродов И.Я. и др. Эволюция военного искусства: этапы, тенденции, принципы. М.: Воениздат, 1987. С. 157.

  11. Там же. С. 159.

  12. Радзиевский А.И. Развитие теории и практики прорыва. Ч. 2. М.: ВАФ, 1977. С. 201.

  13. Ларионов В.В., Антонов Н.А., Выродов И.Я. и др. Эволюция военного искусства: этапы, тенденции, принципы. С. 160-161.

  14. Ларионов В.В., Антонов Н.А., Выродов И.Я. и др. Эволюция военного искусства: этапы, тенденции, принципы. С. 161.

  15. История военного искусства. Т. 3. С. 560.

  16. История военного искусства. Т. 3. С. 560

  17. Слепенков Д.К., Червонобаб В.П., Гарбуз Г.И. и др. Армейские операции. М.: Воениздат, 1977. С. 200-202.

  18. Военны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М.: Воениздат, 1983. С.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