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репость Кузнецов

현대 환경에서 기갑 무장의 체계적 개발을 위한 방향의 우선순위

bkg

군사 사상Военная мысль 2023년 11월호

G.I. 골로바쵸프
공학 박사доктор

V.V 쿠제프 대령
공학 부박사кандидат

E.V. 구바노프 대령
공학 부박사


초록

현대 단계에서의 해외 및 국내 전차제조 개발의 경향을 분석하고, 현대 환경에서 기갑 무장의 체계적 개발에 대한 우선순위 영역을 고려한다.


현대 상황에서 무장전 수단 개발 경향의 분석은, 미래 전장이 개별 모델이 아니라 군 전투 서열의 모든 요소와 적의 모든 기반시설에 대해 동시에 영향을 미침을 보장하는, 총체적 시스템에 대한 대치對峙임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개별 신규 모델 일련을 제작하는 경로로의 개선에서, 할당된 전투 과제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함을 보장하는 다양한 수준의 군 편제 무장 시스템 개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무장 및 군사 기술품 (VVT) 개발 전망을 계획하는 체계적 접근법의 보다 완전한 실현의 절박함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오늘날 국내 및 해외 무장 개발 계획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미래 무장, 군사 및 특수 기술품 (VVST) 시스템에 할당된 과업의 복잡성과 다양성이 증대됨에 따라 새로운 VVST 유형이 등장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군 편제 기갑 무장 및 기술품 세트의 조직-구조적 종합성을 나타내는 기갑 무장 및 기술품 (BTVT) 은 일반목적군 (SON) VVST 시스템 구성의 일부로 공세에서는 높은 이동성과 타격력, 방위에서는 안정성을 제공한다.

BTVT의 체계적 개발을 위한 우선순위 영역을 결정하는 초기 데이터는 이하와 같다:

주요 외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중국, 터키) 에서는 지상군을 위한 차세대 BTVT 개발에 대규모의 첨단 고가 과학-연구 및 실험-설계 작업 (NIOKR)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1.

동시에 이 국가들에서는 기존 BTVT 모델 현대화를 위한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해외 전투 장갑 차량 개발의 주요 경향은 개별 모델 제작에서 전술 수준 제병협동 편제 (여단 이하) 자동화 통제 시스템 (ASU) 에 통합된 범용 전투 차량 계열 개발로 전환하는 계획이었다. 다수 외국 프로그램들에서 개발된 차기 모델들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그러나 범용 전투 차량 및 시스템의 개발 동안 제작 계획이 본질적으로 변경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9년 Future Combat Systems (FCS) 프로그램이 종료되었고, 2014년에는 Ground Combat Vehicle (GCV) 프로그램이 중단되었으며, 영국에서는 Future Rapid Effect Systems (FRES) 프로그램이 종료되었고 프랑스에서는 Scorpion 프로그램 계획이 조정되었다. 상기한 변화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장기간 구현하는 동안 이를 구현할 상당한 재정 기반을 포함하여 주로 국지전 및 무장 충돌에서의 경험으로 인해 BTVT 전투 적용에 대한 견해가 근본적으로 변화한 까닭이다.

미국은 차세대 BTVT의 현대화 및 개발을 위한 여러 우선적 프로그램들을 지속해서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은 이하와 같은 대규모 복합 프로그램 내에서 수행된다: "신세대 다목적 전투 장갑 차량". 이 프로그램은 다음 유형의 BTVT를 제작한다:

신규 전차 개발과 함께 미국에서는 M1A2 SEPv2 "에이브람스" 전차를 현대화하여 M1A2C 유형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의 기존 BTVT 모델의 신규 제작 및 현대화는 주요 전투 특성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계획이다.

그리하여 미국의 신 전차의 기술적 윤곽은 오늘날의 새롭고 발전하는 기술을 고려하고 최근 수 년간 무장 충돌에서 미 육군이 얻은 전투 경험을 사용하여 개발되고 있다. 프로젝트 개발자가 당면한 주 과제는 "에이브람스" 전차 최신 개량형 대비 치수-중량 지표를 감소시키며 전차의 주요 전투 특성을 증가시키는 합리적 방법을 찾는 것이다.

전투 중량이 크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전차는 M1A2D "에이브람스" 전차의 최신 개량형보다 더 잘 방호될 것이라 주장한다. 최근 수 년간의 무장 분쟁은 미래 전차의 방호가 전방위적이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2017년 미국 미래 전차 무장에 대한 정보가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발표되었다. 특히 이 전차의 주무장은 130 혹은 140mm 구경이 될 것이라는 점이 주목되었다.

차세대 중 궤도 장갑 차량 계열 제작을 지향하는 프로그램이 영국에서 구현되고 있다. 일찍이 당 프로그램은 FRES-SV로 알려져 있었으며, 2015년 9월부터 AJAX라는 공식적인 명칭을 얻었다. 현재 범용 차체를 만드는 AJAX 프로그램에 따라 영국 국방부 (MO) 는 전투 정찰 차량 (AJAX-ISTAR), 장갑수송차량 (ARES), 지휘-본부 차량 (ATHENA), 장갑 수리-복구 차량 (APOLLO), 후송 차량 (ATLAS), 공학 정찰 차량 (ARGUS) 와 같은 전투 및 보조 차량 계열을 개발하고 있다. 6개 변종은 모두 개발되어 양산에 들어갔고 영국 지상군 기갑, 보병 및 정찰 구분대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따. 신규 기술품 공급은 2025년 완료될 예정이다.

독일의 BTVT 모델 개발은 첫째 ─ OBT "레오파르트-2"를 "레오파르트-2A8" 개량형으로 현대화하는 것과, 둘째 ─ 차세대 OBT를 제작하는 것 두 개의 독립된 방향으로 실시되고 있다.

동시에 두 번째 방향은 오늘날 독일 군사-산업 지도력에 의해 "레오파르트-3" 전차 (Main Ground Combat Systems (MGCS)) 의 개발과 연계된다. 개발 중인 MGCS 시스템에는 광범위한 전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다양한 목적의 여러 유형 (복합체) 이 포함된다. 본 시스템의 주 특징은 독일-프랑스 공동 개발이라는 점이다.

해외 정보통에 따르면 독일-프랑스 MGCS 시스템 개발의 우선도는 이하와 같다: 전투에서 승무원 생존율의 최대화를 보장하고, 다양한 전투에서의 전차의 전투 효율성과 낮은 생산, 수리 및 운용 비용 보장. 본 개발에서 독일 및 NATO 무장군 군종 및 병과의 전술 수준 정보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중심 전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가망성을 보장하는 혁신적 기술을 사용할 것이다. 전차의 화력 및 이동성은 기존 OBT에 비해 대폭 향상될 예정이다.

프랑스는 2014년 말 Système d'Informationdu Combat Scorpion (SICS) 을 출시하면서 신형 차량 도입을 넘어서는 군의 대대적 변혁을 개시하였다. 실질적으로 이 프로그램에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갈라진다. 하나는 차륜형 Griffon (6x6) 장갑차와 Jaguar 전투 정찰 차량 (6x6) 의 제조와 관련이 있으며 세 번째로 경차량이 합류할 것이었다. 당 프로그램의 다른 두 방향에는 지휘 및 통제 시스템 (C2) 과 SEMBRA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장비한 전투 차량의 개발 및 생산에 전념하는 것이었다. SICS 프로그램은 연대 이하 수준의 프랑스 지상군 전투 통제 요소를 위한 디지털 아키텍쳐이다.

여러 국가들 (일본, 중국, 한국, 인도, 터키 등) 에서 국익 보호를 위한 과제 해결의 필요성에 따라 적 정규군과의 전투 행위 수행용으로 설계된 차기 전차 및 장갑 차량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의 공통된 특징으로는 특히 Abrams, Leopard-2, Leklerk 전차 등 서방 최고의 모델들에서 구현된 기술적 해법을 사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분석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 무장군의 기존 BTVT 시스템은 통일성 원칙에 대한 충분한 숙고 없이 제작되었고, 이는 한편으로는 BTVT 모델에 통일되지 않은 원래의 구성 부품을 사용하고 낮은 통일성 수준의 모델을 만들었으며, 이는 BTVT 유형이 불합리하게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현재 기존 유형에는 실 요구를 크게 초과하는, 200종이 넘는 BTVT 모델들이 포함되어 있다. BTVT 유형을 삭감하는 것은 BTVT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해결하여야 하는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이다. 총체적으로 BTVT 시스템은 부과된 요구를 완전하게 충족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 개발 문제가 제기되며, 그 중 BTVT 시스템 및 그 요소의 개발 구상 (개념) 의 형성, 현대 상황에서 이의 구현을 위한 실제적 경로의 결정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개념 구상시에는 우선 일반목적군 VVST 시스템 내에서 BTVT가 수행하고 수행할 역할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 시대에서 BTVT 모델은 SV, 공수군 (VDV) 및 해군보병, 또한 기타 법집행기관 (FSB, MVD, MChS 등) 일부의 군 편제 무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BTVT 시스템은 종간 작전적-전술적 무장 시스템이 되어 지상전에서 군 타격으로 적을 궤멸시키고, 군사, 경제 및 정치적으로 관계된 중요한 시설 및 지형 구획을 점령하고 견지하는 VS 군 집단의 능력을 보장하여야 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현 시대에 고수준의 생존성 및 이동성을 갖춘 BTVT를 기반으로 VS의 작전, 전투, 특수-기술 및 후방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특정 전제조건이 존재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적의 화력 영향 하에서 군 편제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BTVT 시스템은 기동 형태의 무장전에서 일반목적군 군사 집단의 안정성, 중요 시설 및 지형 구획 점령 및 견지 시 지상 근겁전에서 군 타격으로 적을 궤멸시키는 능력 및 전투 행위 준비 및 수행 중 전차-기술 지원을 위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었다.

BTVT 시스템의 개발 목표는 양적-절적 구성 (군의 자원 소모 및 보수 기간을 고려한 모델의 전투 및 운용-기술적 특질 수준 유형) 을 다양한 군사 행위 전구에서 군 편제 구성에 할당된 전투 수행 임무, 조건 및 방법에 대응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BTVT의 체계적 개발 방향 결정에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는 전투 운용 조건과 미래 전장의 특성이다.

이는 현대 및 미래 무기 시스템의 가망성 분석, 전투 운용 형태 및 방법 예측, 군 및 무기 통제 시스템의 개발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현대 및 미래 무기 시스템 가망성의 급격한 증가로 군은 작전 대형 전 종심에 걸쳐 더 큰 손실을 가하여 힘의 균형을 빠르게 변경하고 한 유형의 전투에서 다른 전투로 전환할 수 있다. 총체적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를 살피면 미래 전장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현재 기존 유형에는 실 요구를 크게 초과하는, 200종이 넘는 BTVT 모델들이 포함되어 있다. BTVT 유형을 삭감하는 것은 BTVT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해결하여야 하는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이다. 총체적으로 BTVT 시스템은 부과된 요구를 완전하게 충족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 개발 문제가 제기되며, 그 중 BTVT 시스템 및 그 요소의 개발 구상(개념)의 형성, 현대 상황에서 이의 구현을 위한 실제적 경로의 결정이 가장 중요하다.

미래 전장의 최중요 성향은 네트워크중심 종류의 단일 네트워크 통제 시스템의 군 개발 및 도입에 기반하여 군 편제 무장 시스템의 전체 주 요소들 (전투 시스템, 정찰 및 통제 시스템) 이 공간적으로 조정되고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사용자 간에 수직 및 수평으로 실시간 데이터 교환을 보장하는 네트워크중심전2 개념의 구현과 관련이 있다. 당 시스템을 사용하면 광대한 전투 공간에 분산된 이종 병력 및 자산 (인력 구성, 조직 및 통제소, 전투 및 기술 지원, 무장 및 군사 기술품) 의 정보 통합이 보장되고, 모든 사용자가 전장 상황에 대한 적지적이며 포괄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투 행위의 효율성이 극도로 증가한다.

미래 전장의 이러한 성향은 군사 편제에 할당된 과업의 특징으로 변환되어 BTVT 요구사항을 개발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현 단계의 BTVT 시스템 개발은 제작 모델의 전투 및 운용 특성 수준의 질적 증대를 바탕으로 미래 전장 조건에서 효율적인 전투 운용을 목표로 차세대 전투 장갑 차량 및 지원 차량 시스템의 제작 및 개선을 목적하여야 한다. 고수준의 생존성, 이동성, 자율성 및 행위 독립성, 단일 정보 공간으로의 통합, 제작된 모델의 범용성 수준 증대를 통한 BTVT 유형총체의 감소, 할당 임무를 해결하는 용어와 조건의 확장, 필요한 현대성 및 가용성 수준으로의 BTVT 지원 조치 수행, 범용 기반 차체의 장갑 차량 계열형 개발을 보장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BTVT 시스템의 개발에는 이하 주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총체적으로 BTVT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개발은 해결할 과제에 상응해야 한다는 원칙을 구현함을 지향해야 한다. BTVT 시스템 구조에 대한 요구사항 입증은 해결해야 할 과업들의 전체 목록을 고려하여야 한다.

BTVT 모델은 할당 임무를 수행할 때 통상 일반목적군 (SON) 무장 편제 (VF) 의 구성으로 행동한다. 따라서 BTVT 시스템의 구조를 결정할 시에는 먼저 VF SON에 전반적으로 할당된 임무 목록을 고려해야 한다.

VF SV에 할당된 임무의 가장 일반적인 분류 징후는 그 특성이다. 규범 문서에 따라 이러한 특성은 이하와 같이 세분화된다:

분석 결과 기갑 무장 및 기술품 (하위시스템 별) 시스템의 기존 구조는 VF SON에 할당된 임무의 구조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TVT 시스템은 기갑 무장 (BTV) 와 기갑 기술품 (BTT) 하위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기갑 무장에는 전투 자산, 통제 및 전투 지원 자산 (전차, BMP, BMD, BMPT, BTR, BTR-D, KShM, BRM, BRDM) 이 포함된다. 기갑 기술품에는 전차-기술 지원 자산 (이동식 기술 조작 및 수리 장비 (PMTOR), 이동식 후송 자산 (PSE ─ 전차 견인차, BREM), 후방 자산 (장갑 의무 차량 (BMM)) 및 교육 훈련 자산 (시뮬레이터, 교실 및 교육 조작 스탠드)) 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BTV 개발과 관련된 문제를 고려한다. BTT 개발 문제는 고유성을 지니며 별도의 작업에서 고려된다.

BTV 하위시스템 개발의 핵심 문제는 각 종류별로 합리적인 명명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당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BTV 유형의 명명법과 해결 과제 및 그 구현 조건에 대한 상응 원칙이 사용된다. 본 원칙에 따라 각 과제의 해결은 하나 이상의 BTV 유형이 시스템에 존재함으로써 보장되어야 한다.

BTV 모델, 특히 전차는 무장전의 보편적 수단이며 광범위한 운용 조건에서 각양각색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단일한 보편적 고효과성 전투 수단의 창조는 불가능하기에 과제 해결에 어느정도 전문화된 몇몇 기갑 무장 유형 (전차, BMP, BTR, BMD) 을 생산하게 되었다.

고도로 전문화된 무장전 수단은 보편적 수단과 비교하여 하달된 임무를 더 높은 수준으로 해결함에 더 적합할 수 있으나, 동시에 BTV 시스템에 고도로 전문화된 수단만이 존재하기에 그 명명법이 과도하게 확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BTV 시스템은 불합리하게 복잡해지고 제조 및 운용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각 BTV 유형의 개념을 개발할 때 전문화와 보편화 사이의 최적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우리의 관점으로는, 당 문제는 특별 군사 작전 (SVO) 을 포함한 무장 충돌에서의 전투 운용 경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BTV 시스템에서 각 유형의 역할과 지위, 할당된 과제를 정의하고 전체 BTV 시스템의 총체적 구상으로부터 개발 개념을 체계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한즉, BTVT 시스템 유형의 합리적 명명법 형성 문제의 효과적 해결은 적응화, 시스템 유형의 보편화 및 전문화 수준의 조화로운 조합, 종합화에 대한 현대적 접근법에 기반한 BTVT 모델 특성 수준의 합리적 개발 등의 원칙을 적용하는 경로로 가능해진다.

BTV 유형의 구체적 명명법은 상기 연유로 인하여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

기존 BTVT 하위시스템 유형에는 이하가 포함된다:

그러나 분석은 기존 BTVT 시스템 유형이 SV VF 정원 편제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SV VF의 BTV 세트에 제시되는 중요 요구사항은 이하와 같다:

최후자 요구사항의 충족은 해결 중인 화력 임무에서 서로를 보완하는 전차와 BMP (BTR) 의 공조된 전투 운용으로 확보된다. 전차는 주로 적 전차 및 방위 구조물сооружение에 위치한 보병을, BMP (BTR) 는 중, 경 차체 기반 VVT, 전차 위협 보병 세력 (TOZhS) 을 격파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SON 전투 장갑 차량 통합 계열 제작 원칙을 따라서 SV BTVT 미래 시스템의 범용 전투 플랫폼은 단일 범용 종간 중급 궤도형 플랫폼 (UMTGP) 및 중급 궤도형 (UMSGP) 및 차륜형 (UMSKP) 범용 플랫폼으로 제작되며, 또한 VDV BTVT용 VDV 범용 기초 차체가 있다3.

범용 종간 플랫폼에 기반하여 제작된 차량 계열들은 도로-기후 조건, 연중 시간과 상관없이 전장에서의 구분대 및 부대 간 상호작용, 생존성 및 이동성 수준의 향상을 보장한다.

차량 절점 및 부품 호환성으로 인하여 전투 파손 발생 시 기술품 복원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SVO 조건을 포함하는 현대 전투 행위 수행 경험에 바탕하였을 때, 파손된 전차는 회복불능безвозвратный 손실에 빠질 때 까지 3-4회 복원되기에 해당 요소는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보편화를 통하여 군 편제 세트에서 모델의 정보-에너지 단일성, 제병협동 편제 행위의 자율성이 보장된다.

범용 절점 및 집합체에 기반한 BTVT 모델의 개발은 양산 비용을 감소시키고 수리 세트 및 비축 부품을 군에 제공함으로써 생산 및 운용에 지대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BTV 차기 모델은 모듈 원칙, 차체 하중용량의 다중화, 개방형 아키텍쳐를 갖춘 탑재기기 복합체 사용 등과 같이 추가 개발 (현대화) 의 긴급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진보적 설계 원칙에 기반한 새로운 이념이 사용된다.

특히 다양한 전투 상황 조건에서의 전투 과제 해결을 위한 BTV 모델의 적합성 요구사항은 여전히 난해한 문제로 잔존한다.

그러나 이는 적절한 전투 상황 조건에서 구체적 과제 해결을 위해 설치되는 가철假綴식 모듈을 사용하는 모듈식 설계 원칙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BTV 모델 설계의 진보적 원칙의 또 다른 예시는 승무원 방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 무장"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다.

군사 기술 분야에서 진보적 설계 원칙, 새로운 구성요소 해법, 혁신적 성과를 사용하면 제작된 모델의 화력, 방호력, 이동성 및 지휘 통제성과 같은 기초 속성 수준이 상당하게 향상된다.

전차 부대 및 제대는 UMTGP로 제작된 (전차, BMP), 차량화소총병은 UMSGP 및 UMSKP로 제작된 미래 BTV 모델을 장비할 것이다.

전차 부대 및 제대의 구성으로 행동하는 모델들의 균일한 생존성 수준의 요구사항에 따라 주력 전차 (UMTGP) 에 기반하는 고방호 BMP를 제작하여야 한다. BMP가 신규 BTV 유형이 아니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주력 전차 기반 고방호 BMP의 제작은 SV BTV 시스템 개발 과정의 근본적으로 새로운 일보一步이다.

차륜형 BMP (BTR) 을 장비한 차량화소총병 구분대 임무의 효과적 해결을 위해서는 차륜형 기반의 고탄도 주포를 장착한 부유 전투 화력 지원 차량 (MOP) 장비 구분대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차량은 향후 러시아 연방 지상군 BTV 시스템에 등장할 수 있는 신규 BTV 유형이다. 이러한 차량은 이미 전 세계 여러 국가의 군대에 무장되어 있다.

현재 제병협동 군 편제 (OVF) 의 BTVT 세트 구조에서 MOP의 지위와 역할을 정의하는, MOP 제작의 실용성 문제의 해결을 지향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4.

수행된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BTR (차륜형 BMP) 를 장비한 차량화소총병 대대를 갖춘 차량화소총병 여단 예하의 전차 대대를 화력 지원 대대 (bop) 로 대체할 경우, 통일된 이동성 수준의 요구사항은 준수되나, 차량화소총병 여단 (msbr) 에 할당된 전투 과제를 해결할 때 전장에서의 차량 생존성이 낮고 적은 무장 탄약량에 의하여 인력 및 기술품의 손실이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차량화소총병 여단 구조에서 전차 대신 MOP를 운용하는 것은 비합목적적이다.

동시에 현대 환경에서는 무장 분쟁 및 국지전을 해결하는 SV 임무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다. 당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SV 구조에 고기동성 성분을 만드는 것이 현실적이며, 이의 기초로는 돌연 발생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장거리로 신속히 파견함이 가능한 미래 기동형 차량화소총병 여단이 될 수 있다. 이들은 무장 충돌 및 국지전에서 강력한 현대적 교전 수단으로 무장하지 않은 적의 비정규 군사 편제에 대한 행위를 위해 설계되었다.

SVO 수행 경험은 SV OVF 의 BTV 세트 구조에서 전차 지원 전투 차량 (BMPT) 의 사용이 현재 긴요함을 보여주었다.

범용 종간 플랫폼에 기반하여 제작된 차량 계열들은 도로-기후 조건, 연중 시간과 상관없이 전장에서의 구분대 및 부대 간 상호작용, 생존성 및 이동성 수준의 향상을 보장한다.
차량 절점 및 부품 호환성으로 인하여 전투 파손 발생 시 기술품 복원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SVO 조건을 포함하는 현대 전투 행위 수행 경험에 바탕하였을 때, 파손된 전차는 회복불능 손실에 빠질 때 까지 3-4회 복원되기에 해당 요소는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주력 전차에 기반하여 제작된 본 차량은 단중거리에서 적 전차 위협 보병 세력과, 중장거리에서 장갑 표적과 효과적으로 교전하도록 설계된 다중채널 무장 복합체를 갖추고 있다. 적 TOZhS는 효과적 전차 파괴 수단인 "재블린" PTRK, 표적을 상부 반구에서 파괴할 수 있는 전투 및 정찰-타격 무인 비행 장치 (BPLA) 를 장비함에 따라 적시 제압이 중요한 임무이다.

전차와 동일한 방호 수준을 가진 BMPT는 공세 간 같은 전투선에서 효과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2차 전투선 (전차 뒤) 에서 행동하는 부유 BMP와 비교하여 무장 복합체 사용에서 더욱 높은 효과성을 보장한다.

전차와 BMPT의 협동 전투 운용 문제 해결의 조직적 보장을 위한 변형 중 하나는 전차 대대 예하에 BMPT 중대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변형은 전차 여단에 BMPT 대대를 도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 SV BTV 시스템 구성에는 이하가 포함되어야 한다:

전차, BMP, BTR, BMD는 전투 속성의 독특한 조합을 지닌다: 화력, 방호력, 기동성 및 지휘 통제성. 이러한 속성의 개발 우선순위를 올바르게 선택하면 시대의 도전에 부응하는 다양한 전투 환경 조건에서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는 적합한 BTV 모델을 제작할 수 있다.

현대 전투 행위의 특징의 분석에 의하면 전투전 상황 (군의 진출, 재편성 및 기동 중) 에서 적 교전 수단의 영향이 극대화됨에 따라 적 교전 수단으로부터 BTV 모델 방호력의 역할이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근접전에서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BTV 모델의 화력, 방호력, 지휘 통제성, 이동성의 조합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BTV 모델에 대한 엄격한 중량 제한이 있는 경우 주요 속성의 합리적인 조합을 통하여 고수준의 효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높은 수준의 이동성, 항공수송성, 부유를 통한 수장애물 극복 가망성 (자체 배수량으로 인하여), 다른 면으로는 필요한 방호력 수준이라는 모델 요구사항 간의 주요 모순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당 모순의 해결은 개발중인 모델에 채택된 개념에 달려있다. 이동군에 대해서는 높은 이동성과 항공수송성을, 다른 군 편제에서는 고방호성이 우선되는 모델을 제작하여야 한다. 동시에 기갑 무장 모델의 화력 수준은 할당된 화력 임무를 해결함에 부족함이 없어야 한다.

BTV의 향후 개발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에는 전투 행위 수행 전술의 변화 경향, 특히 SVO 수행 환경을 포함하는 현대 환경에서의 전투 운용 경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조건에서의 BTV 전투 운용 경험은 적절한 공학 지원 (지뢰원 회랑 개척), 적 제압에 요구되는 정도의 항공, 포병, 박격포, 다연장 반응 시스템 (RSZO), 중 화력 시스템 (TOS) 및 기타 교전 자산의 화력 없이 적의 계층 방위에 대한 공세에서 BTV를 대대 전술 집단의 구성으로 대규모로 운용하는 것은 상당한 인적 및 장비 손실을 초래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손실의 감소는 BTV 모델의 기능적 속성 수준을 향상시키고 전투 운용에서의 전술 변화와 같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SVO 환경에서 BTV 전투 운용 전술이 대폭 변화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차량화소총병 소대 혹은 분대의 일부로 전차 1-2대, 공병 분대와 포병 지원 포대를 갖춘 강습 이동 전술 집단 (ShMTG) 이 공세에서 점점 더 자주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ShMTG 구성으로 행동하는 전차에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은 자율성과 무엇보다도 BPLA 운용을 통한 효과적인 적 목표 정찰과 후속 교전이다. 전차가 적 방위에 침투하면 전차 측후면 방향으로 적 매복 사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전차의 전방위적 방호를 보장하고, 대지뢰 저항성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당 조건에서 특히 현실적이다.

방위에서 전차 운용의 효과성 보장은 중거리 (2500m 까지) 에서 장갑관통-하위구경 (BPS) 및 파편-고폭탄 (OFS) 및 장거리 (5000m 까지) 에서 전차 유도 로켓 (TUR) 을 통한 정확한 표적과의 교전뿐만 아니라 적의 대응 사격 적중을 배제하는 적시적이고 은밀한 사격 진지의 교대에 기인한다. 사격 진지의 은밀한 교대는 사격 포구가 있는 토벽 뒤에서 전차를 이동하거나 두 개 이상 참호 간의 해자를 따라 이전하는 것으로 보장될 수 있다.

사격 진지에서 탄약을 보충할 수 없는 많은 경우 여러 전차가 관여되어 서로 교대하는 "전차 회전목마"가 사용된다: 사격 수행, 탄약 보충 구역 (RPB) 으로의 재이동, 탄약정량 적재, 사격 진지로 복귀.

BPLA를 사용하여 적 목표를 적시에 탐지하고 그 좌표를 전차 승무원에게 전송함으로 폐쇄 진지에서 전차 사격이 높은 효과성을 달성케 할 수 있다.

방위에 전차가 존재하면, 특히 SVO 수행 간 우크라이나 무장군 (VSU) 이 사용하기 시작한 야간 공격 중에도 그 안정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전차에 열화상 조준경이 있으면 적 공세 병력 및 자산을 적시에 탐지하고 효과적으로 교전할 수 있다.

전차의 개선에서 방위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현실적인 방향은 전차포 (TP) 의 구경을 확대하는 것이다. 당 방향은 포신에서 발사되는 BPS 및 TUR의 장갑관통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해자에 개방되어 위치하고 체재하는 TOZhS와, 비장갑 및 경장갑 VVT 모델에 대하여 궤적 기폭 제어 OFS{아이네트 시스템 ─ 역자 주}의 효과성이 적잖이 증가할 수 있다.

총체적으로 전차 및 기타 BTV 유형에서 요구되는 방호력을 보장하는 최시급 문제에 대한 해법은 복합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의 본질은 한편으로는 기만маскировка, 효과적 대항공방위, 로켓-포 무장, 항공, REB, 공학 지원 및 기타 수단의 운용 등의 복합 조치를 수행하여 적의 영향력 강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BTV 모델은 개별적으로 적에 의한 탐지, 장갑 관통시 파괴하고 비관통시 제압하는 대전차 수단 사용의 가망성을 감소시키는 전수준 방호력을 개발하여 전차 (차량화소총병) 구분대의 체계적 방호를 보장하는 것이다.

BTV 모델의 고방호력은 기존 및 미래 수단 및 방호 기법의 결합으로 달성할 수 있다: 장갑 방호 개선, 광학-전자 제압 복합체 (KOEP) 사용, 반응 장갑, 능동 방호 복합체 (KAZ), 상부 반구 방호 수단 복합체, 전자기 보호 시스템, 최중요 장갑 뒤 기기 및 인력 요소의 국소 방호. 탄약 폭발 및 화재 발생과 같은 BTV에 대한 전투 피해의 경우 회복불능 손실 감소를 지향하는 조치를 수행함이 원칙적으로 중요하다. 이러한 조치에는 이하가 포함된다: 소화 기기 시스템 개선, 탄약적재의 국소 방호 확보 등.

BTV 모델 방어력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의 사전 평가를 통해 이하와 같은 과학-기술적 과제를 확인할 수 있다:

전투 조건 (SVO) 에서의 BTV 전투 운용 경험은 적절한 공학 지원 (지뢰원 회랑 개척), 적 제압에 요구되는 정도의 항공, 포병, 박격포, RSZO, TOS 및 기타 교전 자산 화력 없이 적의 계층 방위에 대한 공세에서 BTV를 대대 전술 집단의 구성으로 대규모로 운용하는 것은 상당한 인적 및 장비 손실을 초래함을 발견하였다.

현 단계에서 BTV 모델의 화력 발전을 위한 우선순위 방면은 이하와 같다: 정확도와 에너지 특성을 개선하여 무기의 효과적 사용 범위를 확장; 정찰 BPLA의 개발과 사용을 포함하여 어려운 기상 조건에서 연중 표적의 탐지 및 식별을 보장하는 다중스펙트럼 시스템의 개발과 사용을 통한 조준-관측 복합체의 범위 및 속행성의 증대; 사격 준비 및 발사 과정에서 위험도에 따라 교전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표적을 탐지하고 식별하는 자동화 정찰 시스템 개발을 통한 표적 탐색 과정의 자동화.

BTV 모델에 필요한 화력을 확보하려면 이하와 같은 중요한 과학-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BTV 모델과 제병협동 구분대의 안정적이고 작전적인 외부 통제를 보장하는문제는 특히 민감하다. 이의 요점은 BTV 모델 및 구분대 주 통제 과정의 낮은 침투 속도 및 유입되는 정보 유동의 붕설崩雪적 증대 조건에서 전투 행위 쾌속성의 급격한 증가와 이를 극히 제한된 시간 내에 전 단위의 지휘관이 처리하고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필요성 사이에 모순이 있는 것이다. 당 문제의 해법은 BTV 모델의 지휘 통제성 발전, BTV 개별 모델과 구분대 전체에 대한 통제 과정의 복합적 자동화를 통해 가능해진다. 지휘 통제성에 대한 요구사항의 실현은 고생산능률высокопроизводительный EVM{컴퓨터 ─ 역자 주}, 고해상도 컴퓨터 비전 시스템, 전자 보호, 통신, 항법 수단 및 기타 정보 수집, 처리, 전송 및 통제 수단에 기반하여 제작된 내장 정보-통제 시스템 (BIUS) 을 BTV 모델 구성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BIUS 가망성의 완전한 실현은 구분대 자동화 통제 시스템 (ASU) 내에서만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미래 BTV 모델을 제작할 때 BIUS를 전술 단위 ASU에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BTV 지휘 통제성 속성의 개발 우선순위 방향은 이하와 같다:

BTV 기동성 발전의 우선순위 방향은 이하와 같다:

BTV를 작동성능 상태로 유지하고 전투 파손 이후 전열에 복귀시키기 위한 작업의 적시적 수행은 BTV 모델의 운용-기술적 속성 수준 및 전차-기술 지원 (TTO) 시스템의 효율성에 따라 달라진다. SVO 환경에서 기존 군 수리-복원 조직 (RVO) 을 사용한 경험에 따르면 전투 손상으로 인해 전열에서 이탈한 BTV를 적시에 완전히 복구하기 위한 일상 수리текущий ремонт 및 중기 수리средний ремонт에 이들의 능력은 충분하지 아니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당면 과제는 군 RVO를 개선하고, 파손된 BTV를 복원하는 가망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부대 수리 중대, 독립 수리-복원 대대 (ORVB) 를 위한 수리-전문가를 훈련하고, BTV 수리용 현대적 이동식 수단을 장비시켜야 함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동시에 군 RVO 구조 개선의 기초가 되어야 하는 중요 원칙은, 노동비용이 덜 요구되는 BTV를 우선적으로 복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면 손상된 BTV 복원 작업의 군사-경제적 효과성이 향상된다.

BIUS 가망성의 완전한 실현은 구분대 자동화 통제 시스템 내에서만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미래 BTV 모델을 제작할 때 BIUS를 전술 단위 ASU에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기갑 무장 및 기술품 집합체 및 모델의 대보수капитальный ремонт를 위한 이동식 공장 작업의 효과성 증대를 위해서는 전투 행위 구역에 최대한 근접해 위치하여야 한다.

미래 BTV 모델의 운용-기술적 속성에 요구되는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과학-기술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현대 조건에서 BTV 차고парк 개신의 중요 방향은 결과로 구식 모델이 현대적 형태로 차고 구성에 공급되는 BTV 모델의 현대화이다.

최신 현대화 BTV 모델은 필요한 수준에서 제시된 과제를 완수할 수 있는 동시에 현대화 비용은 통상적으로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비용보다 더 낮다.

선명한 예시로 현재 SVO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대화된 T-72B3M, T-80BVM, T-90M "프로리프" 전차, "베레조크" 전투실을 장비한 BMP-2M 등이 있다. 2023년 6월 13일 종군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연방 대통령 V.V. 푸틴은 "T-90M "프로리프" 전차는 의심의 여지 없는 세계 최고의 전차"라고 말했다.

BTV 차고 개신 방법 (신규 모델 발주, 기존 모델 현대화) 우선순위의 결정은 "효율성-비용" 기준에 따라 실시된다. 이 경우 평가된 모델을 사용한 전투 과제 이행 비용이 특정 모델의 전투 효과성 수준에 제한을 부과하는 목적 함수로 사용된다5.

따라서, BTV 속성 개발 방향을 위해 제시된 우선순위는 신규 모델 개발을 위한 시험-설계 작업 수행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 (실제적 실용성 조건 충족) 는 기존 BTV 모델의 현대화에 사용될 수 있다.

BTV 특성 개발 우선 방향의 성공적 실현은 관련된 군사 기술의 발전 및 응용 수준에 크게 좌우되며, 그 개발 방향은 당 투고6에서 고려된다.


참고문헌

  1. Борюшин В.Н., Соколенко В.Н. Приоритетные программы развития бронетанкового вооружения и техники США // Зарубежное военное обозрение. 2017. № 10. С. 46—56.

  2. Горчица Г. Реализация сетецентрической доктрины // Военно-промышленный курьер. 2012. № 36.

  3. Головачев Г.И., Шевченко А.В., Широбоков В.Г.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развития бронетанковой техники и пути их решения // Военная Мысль. 2012. № 1. С. 40—49.

  4. Головачев Г.И., Дулепа В.В. Методика оценки военно-экономической эффективности создаваемых (модернизируемых) образцов бронетанкового вооружения // Вооружение и экономика. 2019. № 4 (50). С. 21—30.

  5. Ibid.

  6. Головачев Г.И., Пантелеев А.Л., Широбоков В.Г. Пути реализации приоритетных направлений развития свойств бронетанкового воору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ое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 Военная Мысль. 2017. № 3. С.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