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방위 작전 효율성 증가에 대한 장래
군사 사상ВОЕННАЯ МЫСЛЬ №4 2023
A.V. 로만추크 상장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
A.V. 쉬긴 대령полковник
군사과학 부박사кандидат
초록
본고는 군 방위 작전의 이론과 응용에 대한 발전을 위해 수 가지 유망한 방향을 제안하고 입증하며, 저자의 의견으로 그 효과는 크게 증가한다.
방위에서 전투 행위는 대부분 진격하는 적의 능동성 표현에 대한 군의 보복성 반응을 나타낸다. 이러한 반응은 상대적으로 수동적이거나, 특히 "물러서지 마라ни шагу назад" 원칙에 따른 점유 방위 경계 (위치) 의 지탱, 예방 혹은 보복 타격, 심지어는 역공контрнаступление 전환과 같이 능동적일수도 있다. 잘 알려진 군사 이론가 K. 클라우제비츠가 방위의 공식을 "대기待機 더하기 행위"로 정의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1.
무엇이 되었든 방위의 주 목표는 진격하는 적의 주도권을 무력화하는 것, 즉 배치된 병력으로는 전진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적의 능동성을 감소시키고 돈좌된 타격 집단 격멸을 위한 결정적인 역공으로 전환하여 주도권을 탈취하는 것이다. K. 클라우제비츠는 당시 방위 행위의 궁극적 목표 중 하나를 매우 명확하게 정의하였다: "신속하고 강력한 공세로의 전환 - 즉 눈부신 복수의 칼날은 방위의 가장 빛나는 순간을 구성한다"2.
대조국전쟁기 동안 붉은 군대는 다양한 규모의 수많은 방위 작전을 준비하고 수행하였고, 이는 일반적으로 적의 출혈과 결정적 역공으로의 전환으로 완결되었다. 그 중 가장 주요하고 교훈적인 것은 1945년 3월 6일부터 15일까지 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수행한 발라톤 작전이다 (그림 1). 이는 한 전선의 서로 멀리 이격된 두 방면에서 성공적으로 작전적인 방위 수행, 예비, 제2 제형梯形, эшелон 및 특히 포병의 대담한 기동, 대전차 예비, 이동식 방벽заграждение 분견대 및 화력 매복의 능숙한 사용에 대한 생생한 긍정적 사례가 되었다. 이후 SSSR 및 러시아 무장군은 이러한 규모의 방위 작전의 준비와 수행이 불필요했다.
그림 1. 발라톤 방위 작전
최근 수 년간 전쟁과 무장 충돌 경험에 대한 연구는, 이 중 일부 과정에서 전투 행위의 특성이 방위 작전의 산발적 징후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의 준비와 수행에 대한 관점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다.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같이 방위 경계에 단단히 결속된 대전차 방위에서, 대항공방위의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별도의 최중요 지역 혹은 대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점진적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전면적сплошной인 방위 경계와 위치를 기반으로 전통적으로 구축된 방위 대부대объединение의 행위는 통상적으로 그리 능동적이지 못하였고 상황의 급변에 항상 적시에 대응치 못하였으며 항공기동аэромобильная 및 공수, 우회обход 및 급습рейд 분견대에 성공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전반적인 현대 군사 분쟁 경험 분석을 통하여 군 방위 작전 발전의 수 가지 경향을 식별할 수 있었다.
- 첫째, 공간적 치수의 증가가 주목된다.
- 둘째, 작전 내용에서 공중-지상 기동 행위의 역할, 중요성 및 비율이 증대되고 있다.
- 셋째, 원격 대치противоборство가 접촉전보다 우세해지기 시작하고, 장거리 교전의 비중이 상당히 증가하며 따라서 정찰-타격 및 정찰-사격 작전 수행 기법을 습득하고 도입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넷째, 방위 동안 특별 기훈련 분견대 (집단) 매복, 지대 원격 지뢰매설, 헬리콥터 및 배회 탄약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 장치 (BPLA) 타격, 유격диверсия-정찰 및 항공기동 편제формирование 행위 조직을 통한 단기 반격контрудар, (контратак)을 광범위하게 이용한다.
이러한 추세는 대조국전쟁기에 비해 군사 분쟁의 특성과 내용이 크게 변화하였음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군사술 이론의 많은 조항들을 개선하고 정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러시아 군사과학은 이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어 선두로 남아있다. "장군은 항상 마지막 전쟁을 준비한다..."4 라는 W. 처칠의 말을 반박하며, 지상군 군사 교육-과학 센터 (VUNTs SV) "주코프 훈장 수훈 VS RF 제병협동 아카데미" 교수진은 전쟁과 군사술의 역사에서 교훈을 얻고, 무장전의 수단, 특성 및 내용의 발전 경향을 연구하며, 군사 (전투) 행위의 향후 새로운 형태와 방법을 탐구하고 입증하는 등 유익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동시에 VUNTs SV의 군사 과학자들은 "지평선을 너머 바라보기" 위해, 즉 미래 군사 분쟁의 특성을 예정하고 공세 및 방위 작전 (전투 행위) 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 방향을 설명하려 노력한다.
VUNTs SV 군사 과학자들이 현대 및 미래 조건에서 군 방위 작전의 효율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수 가지 새로운 접근 방식을 고려해 보도록 한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중요 방면에서 첨단기술로 무장하고 수적으로 우세한 적의 공세를 격퇴하기 위해서는 진지 방어позиционная оборона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그러나 요구되는 시간과 자원의 지출을 감안하면 1차 방위 작전 형태에서만이 질적이고 포괄적으로 준비될 수 있다. 동시에 근미래에서 진지, 선조線條, полоса 및 경계의 선형 윤곽을 가진 전면적인 종심 제형화 방위 구축에 대한 고정관념적 태도는 합리적이라 간주할 수 없다.
시간, 병력, 수단의 부족을 감안할 때, 기술적으로 우세한 적의 공세를 격퇴하기 위한 최적의 전투 행위 형태는, 우리의 관점으로는, 중요 지역, 대상 및 별도의 중요 방면에 대한 수송 분기점узел 등의 유지를 기초로 하는 분산 방위 작전 (그림 2) 이다.
그림 2. 분산 방위 작전 (변형)
이러한 작전은 방면에 따른 불균등한 병력 및 수단의 분배, 병과 및 특수군 제대соединение와 군 부대воинская часть의 탈중앙집중적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향후 중요 지역 및 대상 간의 경간徑間, промежуток은 자율 고정식 혹은 이동식 로봇기술 복합체 (RTK), BPLA, 지뢰-격발 및 비격발적 방벽 등으로 엄호할 수 있다.
분산 방위 조직을 위한 기술적 구성요소는 이미 마련되어 있다. 다양한 RTK, BPLA 및 원격 지뢰매설 수단이 시험의 완료 단계에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이미 전투 행위에 사용되고 있다. 예시로 "자파드-2021" 합동 전략 훈련에는 RTK "우란-9" 중대가 제병협동 제대의 전투 서열에서 성공적으로 행동하였으며, BPLA "이노호데츠" 및 "라스토치카", RTK "네레흐타" 및 "플랏포르마-M", "에포하" 전투 모듈을 장착한 BMP우다르-역자 주가 시험되었다5. 이러한 무장을 군에 대량으로 장비하면 별도 방면, 익측 및 교차점을 엄호하고 화력 매복을 조직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분산 방위의 현실성은 특히 우주 및 공중 기반의 효과적인 기술적 정찰 수단을 갖춘 군의 포화로 인하여 첨단기술을 갖춘 적이 군의 제대 및 부대의 위치와 행동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전장의 "투명성"이 본질적으로 성장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정찰과 파괴 수단의 통합으로 군의 최중요 대상에 고정밀 타격을 실시간으로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군의 분산과 함께 은폐되고 잘 방호된 보유분запасный 위치의 증강된 수량으로의 준비, 지휘소, 탄약고, 저유고 전개 위치의 적시적 변경 (일당 최대 수 회), 또한 기만маскировка 조치의 엄격한 준수, 신예 모사 수단을 사용한 다수 기만체 장비, 적을 기만하는 다른 효과적 조치 수행, 일률적 행동 배제 등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별 군사 작전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장의 "투명성" 증대 문제는 매우 심각해지고 있으며, 전 수준의 군사 과학자들 및 군사 지휘 당국의 공동 노력으로 군 행위의 유례없는 상응 조치 및 방법의 즉각적인 개발 및 실현이 필요하다. 우리의 잠재적인 적들 또한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이미 관련된 개념을 개발하였으며 군 전투 훈련에 적용하고 있다6.
기동 방어를 조직하고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관점으로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VUNTs SV 학자 집단이 여러 지휘-참모 워게임에서 기동 방어 수행을 위한 미래 군 방위 작전을 개발하고 승인하였다. 이러한 작전의 핵심은 지원 선조에서 정찰-타격 (-사격) 행위의 수행, 공격 격퇴를 위해 전면 및 종심에서의 기동을 통하여 적 주력 타격 집단에 대항하는 병력 및 수단의 순차적 집적, 급습 분견대와 매복 구성의 광범위한 사용과 결합된 익측에서의 단기적 반격 수행, 또한 전체 교선선을 따라 근위近位, ближайший 작전 종심에서 장소의 핵심 지역을 확고히 지탱함을 통하여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있다7.
이 모든 것은 필연적으로 방위 구축, 군армия 작전 대형 요소의 구성, 제대 및 부대 행동 방법의 변화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방위 선조 (책임 지대) 를 엄호, 주요 및 대기라는 세 가지 기능화 지역으로 구분할 것이 제안된다 (그림 3).
그림 3. 미래 기동 방위 구축 (변형)
엄호 지역은 정찰-타격 (-사격) 복합체 (RUK 및 ROK) 의 집중 사용뿐만 아니라, 엄호 제대 및 부대 병력 및 수단의 기동 방어 수행을 위해 설계되었다.
주요 방위 지역은 군의 주력을 배치하고, 또한 철수한 엄호 군의 부대가 일부 점유 (적 타격 집단의 진짜 공세 방향을 노출시킨 후) 하며, 적의 추가적인 진격을 방지하거나 개별적인 돌파 집단을 격멸하기 위한 후속 방위-공세 행위를 수행하기 위해 창조되었다.
대기 지역은 군의 주력 제대 및 부대가 주요 지역으로 돌입하기 전 분산된 상태에서 주둔하고 기동 (생존성 확보를 위함) 하고, 또한 예비, 독립 병과 편제, 특수군 및 군 항공대가 체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우리의 관점으로는, 장래 기동 방어 조직을 위한 이러한 접근법은, 작전 대형 요소의 상대적 자립성과, 주력과 격리되고 심지어 포위 상태에서도 제대 및 부대가 자율적 전투 행위를 수행할 가망성을 보장한다. 또한 매복, 화력 및 작전 포包, мешок를 조직하고, 강습штурм, 급습, 우회, 포위охват, 유격-정찰 행위를 수행하며, 엄호 군으로 기습적 단기 반격 실시, 더불어 적의 포위 및 우회에 대한 대응을 위한 유리한 조건을 창출한다.
이러한 기동 방어 대형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방법에는 이하와 같은 행동 절차가 포함될 수 있다:
- 다량의 고정밀 탄약을 사용하여 진격 및 배치 중인 적에게 손실을 가하고, 이들로 하여금 엄호 지역에 있는 동안 주력을 전투에 투입하도록 강요;
- 주요 방위 지역의 기준비 내지 미비 방위 (화력) 경계에 대부대 주력을 전개하고 배치, 엄호 부대 및 구분대 철수;
- 방위 및 화력 경계의 확고한 지탱과 일련의 화력 타격, 반격을 통한 주요 방위 지역에서 적 타격 집단의 최종적 파괴.
방위 경계, 진지, 지역 및 대상 시스템에 관해서는, 오늘날에 고전적 형태로 전면적 방위를 만드는 것은 적보다 유리한 것으로 비추어질 수 있으나 현대 조건 하에서는 본질적인 단점이 존재하므로, 우리의 관점으로는, 항상 합목적적이지는 않다.
군을 진지에 결박시키면 전선을 따라 병력이 분산되고 기동 가망성이 제한되어, 적 침입 집단을 격멸하는 임무의 해결이 복잡해지고 경계와 대상을 유지하기 난해해진다. 따라서 방위 경계는 작전적 및 전술적으로 가장 중요한 상호 분기점 및 방위 지역만이 포함될 수 있다.
고려되는 조건에서, 기동 방어를 준비하는 가장 복잡하고 노동집약적인 과제는, 우리의 의견으로는, 서로 8-12km 간격으로 이격되고 엄호 군의 진지가 배치되며 RUK 및 ROK이 전개된, 억제 경계를 포함할 수 있는 구조로 전방 방위 경계를 장비하는 것이다 (그림 3). 모든 진지는 요새화 및 기만 측면에서 신중하게 준비되어야 한다.
방위 조직 및 수행 측면에서 작전술 이론의 또 다른 유망한 방향은 공중-지상 {공지空地} 방위 작전의 개발 및 입증이다. 이의 이행 가망성은 창설에 대한 실험이 실질적으로 완료된, 공수군 (VDV) "신규 유형" 편제가 군 전투 구성에 포함되는 조건에서 출현한다8.
동시에 군이 공지 방위 작전을 수행하는 방법은 구성에서 이러한 편제의 수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소수의 "신규 유형" 구분대일지라도 존재한다면 공중 및 지상 행동을 결합하여 위협 방면에 이동식 장애물을 신속히 만들고 적이 점거한 정착지를 봉쇄하거나 포위하는 등 공지 예비의 기동을 실현할 수 있다9. 이를 통해 적이 돌파할 가능성이 있는 전선 구획을 엄호하기 위한 병력 및 수단의 부족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의 중요한 우위는 단기간에 실현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를 위해 "신규 유형" 편제는 공지 예비 역할로 나서야 한다 (그림 4).
그림 4. 공지 예비의 전투 행위 (변형)
군 전투 구성에 "신규 유형" 전체 제대 또는 다수 대대 (분견대) 가 포함되면 방위 작전의 일환으로 적 후방에 공지 급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현시대의 군사 과학은 적 후방에 대한 급습을 주로 공세 작전의 일부로 간주하므로 이러한 행동 방식은 작전술에서 유망한 혁신이 될 수 있다.
군에 "신규 유형" 제대가 충분한 수로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항공기동 작전과 같은, 대부대를 사용하는 새로운 형태를 개발하고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의 수행에서 주요 작전 과제는, 우리의 관점으로는, "신규 유형" 제대에, 군의 잔여 군사 편제는 보조 혹은 지원 조치에 할당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기적으로는 군 작전을 방위와 공세라는 전통적인 구분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관점으로는, 전형은 단순히 군 작전이어야 하며, 목표는 방위-공세 행위로 달성된다. 이러한 작전 과정에서는 마치 선제, 보복-대응 및 보복 타격을 실시하는 당사자의 가망성을 상쇄하는 것처럼 원격 대치 방식이 지배적이게 될 것이다. 동시에 화력 교전의 의의가 증가하여, 새로운 종류의 무기 사용과 결합되어 특정 조건에서 적의 공세를 저지하거나 화력 우위를 크게 감소시키고 이니셔티브를 탈취할 수 있다.
군 방위 작전의 준비와 관련하여, 우리의 의견으로는 그 절차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변화는 단축되는 방향으로 작전 준비 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현대적 자동화 통제 시스템의 도입으로 작전 조직 기간을 2-3일에서 1일로 단축하고, 원격 검사 수단의 도움을 포함하여 군 준비도를 하루-이틀에서 수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군에 더 많은 이동식 무장 및 군사 기술품 모델이 장비되면 군 집단 창설과 방위 선조 점령이 가속되고, 미래 공병 무장 수단의 수령으로 인해 경계 및 진지의 요새화 시설화 기간이 중점적으로 감소한다.
결론적으로, 군사-이론 출판 논고에서 군 작전 수행의 준비 방법과 수행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을 개발, 입증 및 논의하는 것뿐만 아니라, 작전 및 전투 준비, 군사 대학 교육 강의에서의 적용, 군사 분쟁에서 전투 행위 수행 동안 승인하는 등 연구 결과를 실제로 구체화하는 것도 중요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1. Клаузевиц К. О войне. 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во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НКО, 1937. Т. 2. С. 85.
2. Там же. С. 122.
3.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1941—1945 годов. М.: Кучково поле, 2013. Т. 5. С. 190.
4. Washburn S. On the Russian Front in World War II: Memoirs of an American War Correspondent. N.Y., 1981. P. 29—33.
5. Впервые на учениях. Новинки техники и вооружений на «Западе-2021» // Военное обозрение. 2021. 16 сентября. URL: https://topwar.ru/187158-vpervye-na-uchenijah-novinki-tehniki-i-vooruzhenij-na-zapade-2021.html (дата обращения: 10.12.2022).
6. Подготовка военнослужащих армии США меняется с учетом новых реалий и доктрины «прозрачного поля боя» // Военное обозрение. 2022. 10 ноября. URL: https://topwar.ru/204797-podgotovka-voennosluzhaschih-armii-ssha-menjaetsja-s-uchetom-novyh-realij-i-doktriny-prozrachnogo-polja-boja.html# (дата обращения: 10.12.2022).
7. Калистратов А.И. Об искусстве ведения оперативной обороны // Военная Мысль. 2006. № 6. С. 30—38.
8. Винтокрылая пехота: в ВДВ приступили к созданию батальонов нового типа // Известия. 24 февраля 2021. URL: https://iz.ru/1128589/roman-kretcul-aleksei-ramm/vintokrylaia-pekhota-v-vdv-pristupili-k-sozdaniiu-batalonov-novogo-tipa (дата обращения: 10.12.2022).
9. Волык С.Н., Берендеев М.П., Сукорев И.А. О применении десантно-штурмовых подразделений Воздушно-десантных войск в современных военных конфликтах // Военная Мысль. 2021. № 7. С. 13—24.